
미국에서 자외선 차단용 양산에 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자 현지인들 사이에서 햇빛 차단을 위한 양산 사용이 늘고 있다. 인플루언서 앰버 퍼거슨은 자신의 틱톡 계정을 통해 “이 더위에서 내가 녹지 않게 해주는 건 오직 양산뿐”이라고 말했다. 이 영상에는 4300여 개 댓글이 달리며 관심을 모았다. 네티즌들은 “이제는 햇볕을 비처럼 피해야 한다”, “아시아인이 많은 지역에 살아서 양산 쓰고 다니는 게 익숙하다”, “미국인들은 양산 쓰는 사람을 멍청해 보인다고 생각하는데, 정작 자기들은 땀 뻘뻘 흘리면서 비웃고 있는 것”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양산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됐다. 그러나 미국을 포함한 서구권에서는 흔하지 않은 풍경이었다. 마운트 시나이-클리니크 피부과 센터의 헬렌 히 박사는 “이들 나라에서는 햇볕이 강한 날 사람들이 양산을 들고 다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며 “기미, 색소 침착, 조기 노화 방지 등 미용상 이유로 자외선 차단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외선은 피부 화상이나 조기 노화뿐 아니라,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양산은 이 같은 자외선은 물론, 열감을 유발하는 적외선도 함께 차단해 여름철 햇빛 노출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히 박사는 “자외선 차단에 있어서 모든 양산이 똑같지는 않다”며 “촘촘한 원단과 자외선 차단 코팅이 적용된 'UV 양산'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런 자외선 차단 성능은 양산과 의류 제품에 표시되는 'UPF(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지수로 구분된다. 히 박사는 “자외선의 약 98% 이상을 차단하는 UPF 50+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양산의 크기가 클수록 더 넓은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어두운 색상이나 안쪽에 검은색·은색 반사 코팅이 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고 했다. 검은색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은색은 반사하는 원리다.
다만 그는 “양산 그늘만으로는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다”며 “자외선은 콘크리트, 물, 모래 등의 표면에서 반사돼 양산 아래 피부에도 닿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히 박사는 양산을 쓰더라도 얼굴, 목, 팔 등 노출 부위에 선크림을 바르고,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의류를 착용할 것을 권했다. 또한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는 가능한 한 야외 활동을 삼갈 것을 강조했다.
한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양산은 UV 코팅이 손상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사용 중 땀이나 습기, 비 등으로 원단이 젖을 수 있으므로 접기 전 충분히 말려야 한다. 수분이 남은 채로 보관하면 곰팡이가 생기거나 코팅층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강한 마찰이나 세탁은 코팅을 벗겨낼 수 있어 피하고, 오염 시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가볍게 닦는 것이 좋다. 보관할 때는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전역에서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자 현지인들 사이에서 햇빛 차단을 위한 양산 사용이 늘고 있다. 인플루언서 앰버 퍼거슨은 자신의 틱톡 계정을 통해 “이 더위에서 내가 녹지 않게 해주는 건 오직 양산뿐”이라고 말했다. 이 영상에는 4300여 개 댓글이 달리며 관심을 모았다. 네티즌들은 “이제는 햇볕을 비처럼 피해야 한다”, “아시아인이 많은 지역에 살아서 양산 쓰고 다니는 게 익숙하다”, “미국인들은 양산 쓰는 사람을 멍청해 보인다고 생각하는데, 정작 자기들은 땀 뻘뻘 흘리면서 비웃고 있는 것”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양산은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오래전부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됐다. 그러나 미국을 포함한 서구권에서는 흔하지 않은 풍경이었다. 마운트 시나이-클리니크 피부과 센터의 헬렌 히 박사는 “이들 나라에서는 햇볕이 강한 날 사람들이 양산을 들고 다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며 “기미, 색소 침착, 조기 노화 방지 등 미용상 이유로 자외선 차단을 중시하는 문화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외선은 피부 화상이나 조기 노화뿐 아니라,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양산은 이 같은 자외선은 물론, 열감을 유발하는 적외선도 함께 차단해 여름철 햇빛 노출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히 박사는 “자외선 차단에 있어서 모든 양산이 똑같지는 않다”며 “촘촘한 원단과 자외선 차단 코팅이 적용된 'UV 양산'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런 자외선 차단 성능은 양산과 의류 제품에 표시되는 'UPF(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지수로 구분된다. 히 박사는 “자외선의 약 98% 이상을 차단하는 UPF 50+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양산의 크기가 클수록 더 넓은 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어두운 색상이나 안쪽에 검은색·은색 반사 코팅이 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고 했다. 검은색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은색은 반사하는 원리다.
다만 그는 “양산 그늘만으로는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다”며 “자외선은 콘크리트, 물, 모래 등의 표면에서 반사돼 양산 아래 피부에도 닿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히 박사는 양산을 쓰더라도 얼굴, 목, 팔 등 노출 부위에 선크림을 바르고,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의류를 착용할 것을 권했다. 또한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는 가능한 한 야외 활동을 삼갈 것을 강조했다.
한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양산은 UV 코팅이 손상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사용 중 땀이나 습기, 비 등으로 원단이 젖을 수 있으므로 접기 전 충분히 말려야 한다. 수분이 남은 채로 보관하면 곰팡이가 생기거나 코팅층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강한 마찰이나 세탁은 코팅을 벗겨낼 수 있어 피하고, 오염 시에는 부드러운 천으로 가볍게 닦는 것이 좋다. 보관할 때는 직사광선을 피해 서늘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