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과 관련된 용어를 긍정적 용어로 변경할 경우 환자의 낙인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천대길병원 가정의학과 김경곤 교수,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국 병원 10곳에서 모집된 BMI 30 이상의 여성 321명과 건강의료정보포털 하이닥에 소속 의사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비만병’과 ‘비만병 환자’라는 용어는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건강 체중 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 같은 표현은 낙인감을 줄여주는 긍정적인 용어로 평가됐다. 이러한 단어는 ‘일반적이며 무난한 건강 관련 용어’, ‘체중 및 건강 상태 개선 가능성을 강조하는 표현’, ‘부정적인 뉘앙스를 최소화한 표현’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만병’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병으로 낙인찍히는 느낌이 불쾌하다”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했다.
흥미롭게도, 비만한 여성과 의료진들의 관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긍정적 용어 선택 이유로 선택한 비만 여성은 69.5%였고, 의료진은 12.3%였다. 반대로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선호한 비율은 의료진이 48%, 비만 여성은 7%였다.
연구 저자 강지현 교수는 “더 다양한 연령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며 “단순히 용어를 바꾼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환자에게 낙인을 해소하고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 소통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사례다.
이 연구는 비만대사연구학회지에 최근 게재됐다.
가천대길병원 가정의학과 김경곤 교수, 건양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국 병원 10곳에서 모집된 BMI 30 이상의 여성 321명과 건강의료정보포털 하이닥에 소속 의사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비만병’과 ‘비만병 환자’라는 용어는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건강 체중 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 같은 표현은 낙인감을 줄여주는 긍정적인 용어로 평가됐다. 이러한 단어는 ‘일반적이며 무난한 건강 관련 용어’, ‘체중 및 건강 상태 개선 가능성을 강조하는 표현’, ‘부정적인 뉘앙스를 최소화한 표현’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만병’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병으로 낙인찍히는 느낌이 불쾌하다”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했다.
흥미롭게도, 비만한 여성과 의료진들의 관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긍정적 용어 선택 이유로 선택한 비만 여성은 69.5%였고, 의료진은 12.3%였다. 반대로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선호한 비율은 의료진이 48%, 비만 여성은 7%였다.
연구 저자 강지현 교수는 “더 다양한 연령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며 “단순히 용어를 바꾼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환자에게 낙인을 해소하고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 소통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사례다.
이 연구는 비만대사연구학회지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