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을 면봉에 묻혀 피가 나는지 진단하는 대변 면역화학 검사(FIT)가 불편한 대장 내시경 검사만큼이나 대장암 조기 발견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 클리닉병원과 카나리아 제도 대학병원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와 대변 면역화학 검사를 비교했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가 대변에 섞여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다. 대장 내시경 검사와 달리 몸에 기계를 넣지 않고 검사할 수 있어 아프지 않고 부담이 적다. 이 연구는 ‘COLONPREV 프로젝트’의 일부로, 대장암 선별 검사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와 대변 면역화학 검사 간 효과를 비교해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스페인 8개 지역의 15개 종합병원·대학병원과 협력해 실험을 진행했다. 대상자 5만7404명은 연구 시작 당시 건강 상태가 양호한 50~69세 성인으로 구성됐다. ▲대장암·선종·염증성 장질환 병력 ▲유전성 대장암 병력(1촌 가족 2명 이상이 대장암 환자이거나 60세 이전 대장암 진단 가족이 1명 이상) ▲과거 대장 절제술 병력이 있는 사람 등은 제외됐다. 참가자의 절반은 한 번의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하고, 나머지 절반은 2년마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 키트를 사용하도록 무작위 배정했다. 연구진은 10년 동안 피실험자를 추적 관찰해 모든 대장암 진단과 사망 사례를 기록했다.
실험 결과,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사람 중에서 55명, 대변 면역화학 검사를 받은 사람 중 60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비율로 봤을 때 각 0.22%, 0.24%로 0.02%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연구를 시작할 때 비열등성 기준(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효능이 떨어지지 않음)을 0.16%로 설정했다. 0.16%를 넘는 차이가 발생하면 효과 차이가 크다는 뜻이다. 두 그룹은 0.02%포인트의 차이를 보여 대변 검사가 내시경만큼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2022년 기준 국내에서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의 11.8%로 갑상샘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했다. 지난 10년간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을뿐더러, 최근 40대 이하 젊은 대장암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나라 20~40대 사이 대장암 발병률은 10만 명당 12.9명으로 전 세계 1위다. 연평균 증가율 또한 4.2%로 가장 높다. 전문가들은 육류와 가공식품 섭취는 늘고 식이섬유 섭취량은 줄면서 비만 인구가 많아진 것을 문제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대변 면역화학 검사는 장 정결제 복용이나 진정제 투여가 필요한 내시경 검사와 달리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다. 평소 복강 수술 경험이 있거나 장유착·장협착으로 내시경 검사에 부담을 느낀다면 대변 검사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검사 방식도 간단하다. 화장실에서 대변을 본 뒤, 제공된 채취 봉으로 소량의 대변을 채취해 전용 용기에 담아 건강검진센터에 제출하면 된다. 이때 채취 과정에서 대변에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검사 결과는 대장 점막에서 출혈이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해 이상 여부를 알려준다. 다만, 대변 검사만으로 용종 유무나 대장 내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과가 ‘양성’일 경우에는 반드시 정밀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 키트는 한국에서도 구매가 가능하다.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쉽게 살 수 있고, 약국을 직접 방문할 수 없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학술지 ‘란셋(The Lancet)’에 게재됐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 클리닉병원과 카나리아 제도 대학병원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와 대변 면역화학 검사를 비교했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가 대변에 섞여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다. 대장 내시경 검사와 달리 몸에 기계를 넣지 않고 검사할 수 있어 아프지 않고 부담이 적다. 이 연구는 ‘COLONPREV 프로젝트’의 일부로, 대장암 선별 검사에서 대장 내시경 검사와 대변 면역화학 검사 간 효과를 비교해 어느 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스페인 8개 지역의 15개 종합병원·대학병원과 협력해 실험을 진행했다. 대상자 5만7404명은 연구 시작 당시 건강 상태가 양호한 50~69세 성인으로 구성됐다. ▲대장암·선종·염증성 장질환 병력 ▲유전성 대장암 병력(1촌 가족 2명 이상이 대장암 환자이거나 60세 이전 대장암 진단 가족이 1명 이상) ▲과거 대장 절제술 병력이 있는 사람 등은 제외됐다. 참가자의 절반은 한 번의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도록 하고, 나머지 절반은 2년마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 키트를 사용하도록 무작위 배정했다. 연구진은 10년 동안 피실험자를 추적 관찰해 모든 대장암 진단과 사망 사례를 기록했다.
실험 결과,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은 사람 중에서 55명, 대변 면역화학 검사를 받은 사람 중 60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비율로 봤을 때 각 0.22%, 0.24%로 0.02%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연구를 시작할 때 비열등성 기준(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효능이 떨어지지 않음)을 0.16%로 설정했다. 0.16%를 넘는 차이가 발생하면 효과 차이가 크다는 뜻이다. 두 그룹은 0.02%포인트의 차이를 보여 대변 검사가 내시경만큼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2022년 기준 국내에서 대장암은 전체 암 발생의 11.8%로 갑상샘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했다. 지난 10년간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을뿐더러, 최근 40대 이하 젊은 대장암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나라 20~40대 사이 대장암 발병률은 10만 명당 12.9명으로 전 세계 1위다. 연평균 증가율 또한 4.2%로 가장 높다. 전문가들은 육류와 가공식품 섭취는 늘고 식이섬유 섭취량은 줄면서 비만 인구가 많아진 것을 문제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대변 면역화학 검사는 장 정결제 복용이나 진정제 투여가 필요한 내시경 검사와 달리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다. 평소 복강 수술 경험이 있거나 장유착·장협착으로 내시경 검사에 부담을 느낀다면 대변 검사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검사 방식도 간단하다. 화장실에서 대변을 본 뒤, 제공된 채취 봉으로 소량의 대변을 채취해 전용 용기에 담아 건강검진센터에 제출하면 된다. 이때 채취 과정에서 대변에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검사 결과는 대장 점막에서 출혈이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해 이상 여부를 알려준다. 다만, 대변 검사만으로 용종 유무나 대장 내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과가 ‘양성’일 경우에는 반드시 정밀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대변 면역화학 검사 키트는 한국에서도 구매가 가능하다.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쉽게 살 수 있고, 약국을 직접 방문할 수 없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학술지 ‘란셋(The Lancet)’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