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브버그 활동이 7월 중순부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또 다른 외래 해충의 확산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꽃매미, 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등은 이미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해충으로, 해마다 농작물과 산림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일명 ‘중국 매미’로 불리는 꽃매미는 중국 남부와 베트남 등 아시아 일부 지역이 원산지다. 성충은 몸길이 2.5~2.8cm로, 회색 앞날개에 검은 반점이 있고 뒷날개는 붉은색과 흰색, 검은색이 뚜렷하다. 꽃매미는 포도, 사과, 배 등 작물의 수액을 빨아먹은 뒤 감로(단맛 나는 끈적한 배설물)를 배출한다. 이 감로가 잎과 열매에 닿으면 검은 곰팡이가 피는 ‘그을음병’을 유발해 생장을 저해하고, 상품성과 수확량을 떨어뜨린다. 번식력이 높고 천적이 거의 없어 빠르게 확산하며, 국내에서는 2004년 처음 발견된 뒤 2006년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됐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1998년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견됐다. 몸길이는 1.2~1.7cm이며, 회갈색 몸통과 갈색 날개, 대리석 무늬의 등이 특징이다. 사과, 배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며, 미국과 유럽에서도 농업 재난 수준의 해충으로 분류된다.
미국선녀벌레는 북미가 원산지로, 국내에는 2009년 처음 출현했다. 성충은 7~8mm 크기로 회백색 또는 청회색 가루로 덮여 있고, 흰 왁스 물질을 분비해 솜뭉치처럼 보인다. 미국선녀벌레도 포도, 감 등 작물에 감로를 남겨 꽃매미와 마찬가지로 그을음병을 일으키며 상품성 저하를 초래한다. 성충은 8~10월 사이 활발히 활동하며, 이 시기에 집중 방제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러브버그 활동이 줄어드는 시기는 외래 해충 방제를 준비할 수 있는 시점이다. 외래 해충은 단기간 내 빠르게 확산할 수 있어, 사전 모니터링과 조기 대응이 필요하다.
한편, 일부 외래 해충은 농작물뿐 아니라 사람 피부에도 자극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미국선녀벌레는 피부에 닿으면 왁스 물질과 미세한 털, 감로로 인해 가려움, 발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외출 후 벌레가 몸에 붙었거나 감로가 피부에 묻었다면 즉시 씻어내야 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긴 소매 옷 착용 ▲방충망 점검 ▲야간 조명 최소화 등으로 노출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명 ‘중국 매미’로 불리는 꽃매미는 중국 남부와 베트남 등 아시아 일부 지역이 원산지다. 성충은 몸길이 2.5~2.8cm로, 회색 앞날개에 검은 반점이 있고 뒷날개는 붉은색과 흰색, 검은색이 뚜렷하다. 꽃매미는 포도, 사과, 배 등 작물의 수액을 빨아먹은 뒤 감로(단맛 나는 끈적한 배설물)를 배출한다. 이 감로가 잎과 열매에 닿으면 검은 곰팡이가 피는 ‘그을음병’을 유발해 생장을 저해하고, 상품성과 수확량을 떨어뜨린다. 번식력이 높고 천적이 거의 없어 빠르게 확산하며, 국내에서는 2004년 처음 발견된 뒤 2006년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됐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1998년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견됐다. 몸길이는 1.2~1.7cm이며, 회갈색 몸통과 갈색 날개, 대리석 무늬의 등이 특징이다. 사과, 배 등 농작물에 피해를 주며, 미국과 유럽에서도 농업 재난 수준의 해충으로 분류된다.
미국선녀벌레는 북미가 원산지로, 국내에는 2009년 처음 출현했다. 성충은 7~8mm 크기로 회백색 또는 청회색 가루로 덮여 있고, 흰 왁스 물질을 분비해 솜뭉치처럼 보인다. 미국선녀벌레도 포도, 감 등 작물에 감로를 남겨 꽃매미와 마찬가지로 그을음병을 일으키며 상품성 저하를 초래한다. 성충은 8~10월 사이 활발히 활동하며, 이 시기에 집중 방제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러브버그 활동이 줄어드는 시기는 외래 해충 방제를 준비할 수 있는 시점이다. 외래 해충은 단기간 내 빠르게 확산할 수 있어, 사전 모니터링과 조기 대응이 필요하다.
한편, 일부 외래 해충은 농작물뿐 아니라 사람 피부에도 자극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미국선녀벌레는 피부에 닿으면 왁스 물질과 미세한 털, 감로로 인해 가려움, 발진,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외출 후 벌레가 몸에 붙었거나 감로가 피부에 묻었다면 즉시 씻어내야 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이 외에도 ▲긴 소매 옷 착용 ▲방충망 점검 ▲야간 조명 최소화 등으로 노출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