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간쑤성의 한 유치원에서 원생들이 탈모, 치아 변색 등 이상 증세를 보인 끝에 집단 납중독 판정을 받아 파문이 일고 있다.
지난 7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홍성신문과 지무뉴스 등에 따르면, 최근 간쑤성 톈수이시의 한 유치원에서 원생 20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찾았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구토, 어지럼증, 복통, 흰머리, 치아 착색 등의 증세를 보여 검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한 학부모는 "이 유치원에 다니는 6세 딸이 흰머리가 나고, 치아에 검은 부분이 생겨 병원에 갔다"며 "검사 결과 혈중 납 농도가 284.9㎍/ℓ로 나왔다"고 말했다.
이들이 검사를 받은 종합병원인 시안시중심의원에서는 혈중 납 농도가 200∼500㎍/ℓ에 이르는 원생이 다수 확인됐다. 중국 보건당국은 어린이 기준 혈중 납 농도를 100㎍/ℓ 이하로 보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50㎍/ℓ만 넘어도 납중독으로 본다.
현재까지 입원 치료 중인 원생은 최소 19명으로, 모두 제독 치료(체내에 쌓인 독성 물질을 배출하는 치료)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보호자는 "자녀가 과거 유치원 급식 후에도 구토와 복통을 겪은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교사들 역시 두통과 메스꺼움 증상을 호소하며 “우리도 피해자”라고 말했다.
현지 당국은 급식에 제공된 삼색 대추설기, 옥수수 소시지 롤 등 일부 식품에서 첨가제가 기준치를 초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난 3일 발표했다. 다만 어떤 종류의 첨가물이 얼마나 사용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앞서 당국은 급식 식재료, 수돗물 등 다양한 경로의 오염 가능성을 조사했으며, 현재 200여 건의 샘플이 간쑤성 질병예방통제센터로 이송돼 정밀 검사가 진행 중이다.
지무뉴스는 이날 논평을 통해 "문제가 된 음식들은 특정 유치원만을 위한 공급품이 아닐 수 있다"며 "슈퍼마켓이나 식당 등 다른 유통 경로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는지 당국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납중독은 체내에 납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중금속 중독으로, 장기간 노출 시 신경계 손상과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는 성인보다 납 흡수율이 높고 배출 능력이 떨어져, 소량의 노출에도 뇌 발달 지연, 행동 이상,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으며, 반복 노출될 경우 회복이 어려운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차단이 중요하다.
지난 7일(현지시각) 중국 매체 홍성신문과 지무뉴스 등에 따르면, 최근 간쑤성 톈수이시의 한 유치원에서 원생 20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찾았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구토, 어지럼증, 복통, 흰머리, 치아 착색 등의 증세를 보여 검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한 학부모는 "이 유치원에 다니는 6세 딸이 흰머리가 나고, 치아에 검은 부분이 생겨 병원에 갔다"며 "검사 결과 혈중 납 농도가 284.9㎍/ℓ로 나왔다"고 말했다.
이들이 검사를 받은 종합병원인 시안시중심의원에서는 혈중 납 농도가 200∼500㎍/ℓ에 이르는 원생이 다수 확인됐다. 중국 보건당국은 어린이 기준 혈중 납 농도를 100㎍/ℓ 이하로 보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50㎍/ℓ만 넘어도 납중독으로 본다.
현재까지 입원 치료 중인 원생은 최소 19명으로, 모두 제독 치료(체내에 쌓인 독성 물질을 배출하는 치료)를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보호자는 "자녀가 과거 유치원 급식 후에도 구토와 복통을 겪은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교사들 역시 두통과 메스꺼움 증상을 호소하며 “우리도 피해자”라고 말했다.
현지 당국은 급식에 제공된 삼색 대추설기, 옥수수 소시지 롤 등 일부 식품에서 첨가제가 기준치를 초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난 3일 발표했다. 다만 어떤 종류의 첨가물이 얼마나 사용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앞서 당국은 급식 식재료, 수돗물 등 다양한 경로의 오염 가능성을 조사했으며, 현재 200여 건의 샘플이 간쑤성 질병예방통제센터로 이송돼 정밀 검사가 진행 중이다.
지무뉴스는 이날 논평을 통해 "문제가 된 음식들은 특정 유치원만을 위한 공급품이 아닐 수 있다"며 "슈퍼마켓이나 식당 등 다른 유통 경로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는지 당국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납중독은 체내에 납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중금속 중독으로, 장기간 노출 시 신경계 손상과 인지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성장기 어린이는 성인보다 납 흡수율이 높고 배출 능력이 떨어져, 소량의 노출에도 뇌 발달 지연, 행동 이상,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도 많으며, 반복 노출될 경우 회복이 어려운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차단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