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릴리아나 레르치​의 다이어트 전(왼)과 후(오)/사진=뉴욕포스트
살이 찐 후 ‘다낭성 난소 증후군’ 진단을 받았지만, 각종 운동으로 45kg을 감량한 20대 여성의 사연이 화제다.

지난 6월 29일(현지시각) 미국 매체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20대 여성 릴리아나 레르치는 10대 때부터 체중이 늘었고, 몸에 대한 스트레스로 폭식을 반복했다. 레르치는 “특히 슬프거나 불안할 때마다 배가 고프지 않아도 폭식했다”며 “이때 체중이 걷잡을 수 없이 늘었다”고 말했다.

레르치는 “어느 날, 스카이다이빙을 하러 갔는데 많은 사람 앞에서 체중을 재야했다”며 “정상 체중 기준을 초과해 추가 요금까지 지불했다”고 했다. 이어 “너무 부끄러웠다”며 “건강도 나빠져 병원을 찾았다”고 했다. 레르치는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진단받았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은 배란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생리불순, 무월경, 난임 등을 유발하는 호르몬 이상 질환이다. 의료진은 “살찌면 다낭성 난소증후군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진다”고 했다.

레르치는 “살기 위해 다이어트를 했다”며 “다이어트 초반엔 유산소 위주의 운동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산소 운동만 하니 살이 처지는 것 같아서 근력 운동을 병행했고 총 45kg을 감량했다”고 밝혔다.


◇살찌면 ‘다낭성 난소증후군’ 걸릴 수 있어
레르치처럼 살찌면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앓을 수 있다. 살이 찌면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인슐린 분비가 과다해진다. 인슐린이 난소에 작용해서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 역시 과잉 분비한다. 이로 인해 배란 장애, 생리불순, 여드름, 다모증 등의 다낭성 난소증후군 증상이 나타난다.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한 연구에 따르면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의 약 50~70%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다.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는 식이조절과 운동, 체중조절과 같은 생활 습관 개선으로도 증상 개선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제로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연구에 따르면 칼로리를 제한해 체중을 2~5%만 감량해도 안드로겐이 20% 감소하고 절반 정도의 생리불순이 개선됐고, 5% 이상 감량한 환자 중 절반 이상의 환자가 난소기능이 정상화된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미국 버지니아대 연구에 따르면 운동도 호르몬 정상화에 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6달 동안 고강도로 30분 이상 자전거를 탔을 경우 난소기능이 좋아지고 인슐린 저항성이 낮아졌으며 혈중호르몬 수치도 낮아졌다고 밝혔다.

◇근력 운동 병행해야 ‘피부 처짐’ 막아
레르치는 다이어트 초반 유산소 운동만 하다가 살이 처져 근력 운동을 병행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산소 운동만 하면 근육량 감소가 나타나 지속하기 어렵다. 서울 프리미엄온핏 설지훈 트레이너는 “유산소 운동은 지방을 직접적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에 30분 이상 지속한다면 지방을 연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다만, 지방과 함께 근육도 빠진다”고 말했다. 근육이 줄면 피부를 받쳐주는 힘이 약해져서 피부가 처질 수 있다. 설 트레이너는 “유산소 운동은 탄수화물을 태우지 못하지만. 근력 운동은 탄수화물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며 “탄수화물은 결국 지방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근력 운동까지 해야 완벽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