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인간의 정액과 난자 난포액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의 정액과 난자 난포액(난자를 싸고 있는 유사 알부민 액체)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페인 생식 보조 전문 기관 '넥스트 퍼틸리티 무르시아(Next Fertility Murcia)' 연구팀은 체외수정(IVF)을 준비 중인 여성 25명과 남성 18명의 생식샘 체액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 난포액 샘플의 69%, 남성 정액 샘플의 55%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난포액에서는 폴리아마이드(P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이 각각 50% 이상 검출됐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도 30% 이상 검출됐다. 정액 샘플의 56%에서도 PTFE가 발견됐다. 이들 물질은 섬유, 포장재, 주방용품, 의료기기, 식품 용기 등 다양한 생활 제품에 사용되는 합성 플라스틱 성분이다.

연구를 이끈 에밀리오 고메스-산체스 박사는 "이전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인체 조직에 침투할 수 있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생식기관 내 검출 비율이 이토록 높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어 "현시점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생식 능력이나 건강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알 수 없다"며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이 생식기관에까지 도달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미세플라스틱은 그간 폐, 뇌, 태반, 정소, 코 점막, 대변 등 다양한 인체 기관에서 검출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정자와 난자를 수집하는 체외수정 과정에서 확보한 체액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점에서 임신·수정 과정과의 연관성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고메스-산체스 박사는 "향후 미세플라스틱이 정자 및 난자의 질, 수정 능력, 임신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럽생식의학회 연례회의'(ESHRE)에서 발표됐으며, 현재는 초록 형태로 공개된 상태다. 동료평가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미세플라스틱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아 혈류를 타고 장기 조직 등에 쉽게 침투할 수 있다. 체내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산화 스트레스 및 세포 손상과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 과학과 기술'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인체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난임, 대장암, 폐 기능 저하, 만성 폐 염증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외에도 면역 체계 이상, 호르몬 교란,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암 발생 위험 등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미세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용기에 뜨거운 음식을 보관하지 않고,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유리나 도자기, 전용 용기를 사용하는 등 일상생활 속 습관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며, 국가 차원의 개입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지난 75년간 250배 증가했으며, 2060년까지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국제 플라스틱 조약 등의 협약에 생산량 제한 조항을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