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격적인 여름 시즌, 휴가철 맞이 체중 관리에 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체중 감량을 위해 급격하게 운동량을 늘리면 근육 세포가 녹는 '횡문근융해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횡문근융해증은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한 근육 타박상으로 근육 세포가 손상되면서 근세포 내 물질이 혈액으로 배출되는 질환이다. 약물이나 대사 이상, 고온 노출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망가진 근육 세포가 녹으면서 세포 내에 있는 미오글로빈, 칼륨, 크레아틴 키나이제 등이 혈액으로 퍼지고, 이로 인해 근육뿐만 아니라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평소 안 하던 운동을 했거나, 강도를 높인 후 평소보다 심한 근육통이 5일 이상 오래 나타난다면 횡문근융해증을 의심해야 한다. 팔을 올릴 수 없는 등 근육의 무기력증이 나타나고, 근력이 오히려 떨어지고, 전신 피로감과 구역감도 동반할 수 있다. 소변이 짙은 갈색이나 콜라색으로 변한다면 횡문근융해증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틴 키나아제 수치와 혈중 미오글로빈이 증가하고, 소변검사에서 미오글로빈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한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형외과 김재균 교수는 “운동 강도는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본인의 몸 상태를 파악해가며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운동 후 경험해보지 못한 통증이나, 갈색 소변을 본다면 고민 말고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고 했다.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면 근육 약화, 부종, 경련 등의 근육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경우 부종에 의해 혈관과 신경이 압박되면서 허혈성 근괴사나 마비가 나타나는 구획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히 혈중으로 배출된 미오글로빈, 크레아틴 키나이제 등의 근세포 내 물질이 콩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독성이 콩팥에 직·간접적 영향을 줘 급성 신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콩팥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 간 수치가 증가하면 매우 드물긴 하지만 간의 기능이 멈춰버리는 전격성 간염이 생길 수도 있다.
치료는 급성 신손상, 대사 이상이 있을 경우 초기 수액을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질환의 증세가 심하지 않다면 자연 치유되기도 한다. 다만, 중증도에 따라 이뇨제 등을 투여하거나 심하다면 혈액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
횡문근융해증을 예방하려면 강도 조절과 함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김재균 교수는 “탈수는 횡문근융해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운동 시 틈틈이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한다”고 했다.
횡문근융해증은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한 근육 타박상으로 근육 세포가 손상되면서 근세포 내 물질이 혈액으로 배출되는 질환이다. 약물이나 대사 이상, 고온 노출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망가진 근육 세포가 녹으면서 세포 내에 있는 미오글로빈, 칼륨, 크레아틴 키나이제 등이 혈액으로 퍼지고, 이로 인해 근육뿐만 아니라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에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평소 안 하던 운동을 했거나, 강도를 높인 후 평소보다 심한 근육통이 5일 이상 오래 나타난다면 횡문근융해증을 의심해야 한다. 팔을 올릴 수 없는 등 근육의 무기력증이 나타나고, 근력이 오히려 떨어지고, 전신 피로감과 구역감도 동반할 수 있다. 소변이 짙은 갈색이나 콜라색으로 변한다면 횡문근융해증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틴 키나아제 수치와 혈중 미오글로빈이 증가하고, 소변검사에서 미오글로빈이 검출되는지를 확인한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형외과 김재균 교수는 “운동 강도는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본인의 몸 상태를 파악해가며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운동 후 경험해보지 못한 통증이나, 갈색 소변을 본다면 고민 말고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고 했다.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면 근육 약화, 부종, 경련 등의 근육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할 경우 부종에 의해 혈관과 신경이 압박되면서 허혈성 근괴사나 마비가 나타나는 구획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히 혈중으로 배출된 미오글로빈, 크레아틴 키나이제 등의 근세포 내 물질이 콩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독성이 콩팥에 직·간접적 영향을 줘 급성 신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콩팥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 간 수치가 증가하면 매우 드물긴 하지만 간의 기능이 멈춰버리는 전격성 간염이 생길 수도 있다.
치료는 급성 신손상, 대사 이상이 있을 경우 초기 수액을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질환의 증세가 심하지 않다면 자연 치유되기도 한다. 다만, 중증도에 따라 이뇨제 등을 투여하거나 심하다면 혈액투석이 필요할 수 있다.
횡문근융해증을 예방하려면 강도 조절과 함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김재균 교수는 “탈수는 횡문근융해증을 악화시킬 수 있는 주요 위험 요인이기 때문에, 운동 시 틈틈이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