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이미지
방송인 정준하(54)가 장거리 러닝을 한 후 극심한 통증을 겪었다고 밝혔다./사진=유튜브 채널 ‘정준하하하’ 캡처
최근 40일 만에 10kg 감량에 성공해 화제가 된 방송인 정준하(54)가 장거리 러닝을 한 후 극심한 통증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지난 24일 유튜브 채널 ‘정준하하하’에는 ‘여름 휴가철 대비 식객 정준하 선생님의 엄선 부산 맛집’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영상에서 정준하는 “마라톤 행사를 앞두고 훈련을 위해 10km를 완주했다”라며 “너무 무리해서 10km를 한 번도 쉬지 않고 뛰었더니 다음날 허리, 관절 등에 통증이 너무 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라토너 션에게 물어봤더니 매일 하지 말고 하루 2~3km 뛰고, 하루 쉬고를 반복하면서 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라며 “체중 관리도 조금 더 해야 할 거 같다”고 했다.
 
장거리 러닝을 하는 마라톤은 골격, 심장근육을 강화하고 엔도르핀을 분비시켜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등 다양한 건강 효과가 있다. 다만, 자칫하면 정준하처럼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정준하가 10km 러닝을 한 후 허리, 관절 등에 극심한 통증을 느낀 원인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원인은 근력 부족이나 잘못된 자세 때문이다.


여수김선생피트니스 곽진호 트레이너는 “엉덩이, 코어, 햄스트링의 힘이 약하면 몸의 무게나 움직임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해 허리나 무릎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통증이 생기기 쉽다”며 “체중이 많이 나갈 때도 뛸 때 관절에 충격이 더 크게 전달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러닝 자세와 관련해 “발 착지나 상체 자세가 잘못된 경우에도 특정 부위에 과부하가 올 수 있다”며 “발을 착지할 때는 발 앞꿈치와 뒤꿈치가 아닌 중앙(미드풋)으로 착지하는 게 가장 좋다”라며 “팔은 앞뒤로 자연스럽게 흔들고, 상체는 10도 정도 살짝 숙여야 한다”고 말했다.

러닝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초보자이거나 오랜만에 운동을 하는 경우, 한 번에 오래 뛰기보다는 천천히 안전하게 뛰는 걸 목표로 삼아야 한다. 곽진호 트레이너는 “한 번에 오래 뛰는 것보다, 짧게 나눠서 반복하는 게 좋다”라며 “근력을 충분히 기른 상태에서 뛰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부상 위험이 큰 노년층의 경우 전문가와 상담 후 시도하는 것을 권한다”고 했다.

러닝 후에 충분한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곽진호 트레이너는 “러닝 후 스트레칭, 폼롤러 등으로 근육을 풀어주는 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