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의 건강]

배우 이미숙(65)이 치매 걱정에 뇌 검사를 받았다.
지난 19일 유튜브 채널 ‘이미숙_숙스러운 미숙씨’에는 ‘인생뇌컷 찍는 날.. 새로운 사실을 알아버렸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이날 이미숙은 뇌 검사를 위해 병원을 방문했다. 그는 의사에게 “약간의 건망증은 있는데 대사는 절대 안 잊어버린다”며 “어디에다 물건 두고 ‘어디 뒀지?’ 이러는 것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의사는 “그럼 큰 문제는 아니다”라며 “치매는 일상생활에 문제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후 이미숙은 다른 병원으로 이동해 뇌 MRI, MRA, 초음파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이미숙의 뇌 상태는 정상으로 확인됐다. 의사는 “뇌 혈류가 좋다”며 “뇌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도 이 정도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는 “나이 들면 생기는 점을 ‘백질 변성’이라고 하는데 MRI에서 안 보인다”며 “나이에 비해 굉장히 좋은 상태”라고 진단했다. 백질 변성은 뇌의 작은 혈관(소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의미한다. 이미숙의 뇌 나이는 실제 나이보다 여섯 살 더 어린 60.1세였다. 이에 그는 “40대 나올 줄 알았더니 아니네”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미숙이 걱정하는 치매의 정확한 의미와 진단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원인 다양해 여러 검사 종합 후 진단
치매는 기억, 언어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점차 감소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임상 증후군을 말한다. 치매는 병명이 아닌 증상의 모음을 나타내며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알츠하이머와 같이 노화로 인해 점차 뇌 기능을 상실하는 노인성 치매, 중풍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가 그 예다. 치매는 이미숙처럼 환자의 증상을 먼저 확인 후 여러 검사를 종합해 진단할 수 있다. 참포도나무병원 홍성규 원장(신경과 전문의)은 “치매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기억력 변화, 행동 이상, 생활 변화 등을 자세히 듣고, 언제부터,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원장은 “그다음 신경인지기능검사(MMSE, MoCA, CERAD, SNSB 등)를 시행해 기억, 언어, 시공간, 계산, 실행 능력 등 여러 인지 영역을 평가 후 치매를 판단한다”고 했다.
◇정확한 원인 찾아야 치료와 예후 예측 가능해
홍성규 원장은 “치매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같은 질환은 아니다”라며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치료와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때 활용될 수 있는 검사가 바로 이미숙이 받은 뇌 MRI·MRA다. 뇌 MRI·MRA 검사는 모두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해 촬영한다. 다만, 이 두 가지는 검사 영역이 다르다. 뇌 MRI는 치매나 뇌졸중 등 뇌의 구조나 기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지만, 뇌 MRA는 뇌 혈관의 형태, 혈류 흐름 등을 확인한다. 치매는 뇌 MRI·MRA 외에도 혈액검사, 뇌파검사(EEG), PET 또는 SPECT, 척수액검사(CSF)를 통해 더 자세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백질 변성, 치매 진단 기준 아니지만 심할수록 관련성 있어
이미숙의 뇌 MRI 결과에서 거의 보이지 않았던 백질 변성은 혈액 공급이 감소되었으나 뇌 조직이 아직 살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뇌 MRI에서는 뇌 중심 부위에 하얀 반점으로 보인다. 백질 변성은 직접적인 치매 진단기준은 아니다. 홍성규 원장은 “백질 변성은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어느 정도는 생길 수 있으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혈관 위험 요인이 있으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다만, 백질 변성의 정도가 심할수록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 홍 원장은 “혈관성 치매나 혼합형 치매(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가 결합된 치매) 환자에게서 백질 변성이 의미 있게 관찰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검사 결과를 통해 조기에 치매 여부와 원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성 치매의 경우 임상 약물을 활용하거나 기억력 훈련, 인지 재활 치료, 작업치료 등을 진행하고,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등과 같은 위험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지난 19일 유튜브 채널 ‘이미숙_숙스러운 미숙씨’에는 ‘인생뇌컷 찍는 날.. 새로운 사실을 알아버렸다’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이날 이미숙은 뇌 검사를 위해 병원을 방문했다. 그는 의사에게 “약간의 건망증은 있는데 대사는 절대 안 잊어버린다”며 “어디에다 물건 두고 ‘어디 뒀지?’ 이러는 것 정도”라고 말했다. 이에 의사는 “그럼 큰 문제는 아니다”라며 “치매는 일상생활에 문제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후 이미숙은 다른 병원으로 이동해 뇌 MRI, MRA, 초음파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이미숙의 뇌 상태는 정상으로 확인됐다. 의사는 “뇌 혈류가 좋다”며 “뇌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도 이 정도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는 “나이 들면 생기는 점을 ‘백질 변성’이라고 하는데 MRI에서 안 보인다”며 “나이에 비해 굉장히 좋은 상태”라고 진단했다. 백질 변성은 뇌의 작은 혈관(소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생기는 변화를 의미한다. 이미숙의 뇌 나이는 실제 나이보다 여섯 살 더 어린 60.1세였다. 이에 그는 “40대 나올 줄 알았더니 아니네”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미숙이 걱정하는 치매의 정확한 의미와 진단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원인 다양해 여러 검사 종합 후 진단
치매는 기억, 언어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점차 감소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임상 증후군을 말한다. 치매는 병명이 아닌 증상의 모음을 나타내며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알츠하이머와 같이 노화로 인해 점차 뇌 기능을 상실하는 노인성 치매, 중풍으로 인한 혈관성 치매가 그 예다. 치매는 이미숙처럼 환자의 증상을 먼저 확인 후 여러 검사를 종합해 진단할 수 있다. 참포도나무병원 홍성규 원장(신경과 전문의)은 “치매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기억력 변화, 행동 이상, 생활 변화 등을 자세히 듣고, 언제부터,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원장은 “그다음 신경인지기능검사(MMSE, MoCA, CERAD, SNSB 등)를 시행해 기억, 언어, 시공간, 계산, 실행 능력 등 여러 인지 영역을 평가 후 치매를 판단한다”고 했다.
◇정확한 원인 찾아야 치료와 예후 예측 가능해
홍성규 원장은 “치매 증상이 있다고 해서 모두 같은 질환은 아니다”라며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치료와 예후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때 활용될 수 있는 검사가 바로 이미숙이 받은 뇌 MRI·MRA다. 뇌 MRI·MRA 검사는 모두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해 촬영한다. 다만, 이 두 가지는 검사 영역이 다르다. 뇌 MRI는 치매나 뇌졸중 등 뇌의 구조나 기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지만, 뇌 MRA는 뇌 혈관의 형태, 혈류 흐름 등을 확인한다. 치매는 뇌 MRI·MRA 외에도 혈액검사, 뇌파검사(EEG), PET 또는 SPECT, 척수액검사(CSF)를 통해 더 자세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백질 변성, 치매 진단 기준 아니지만 심할수록 관련성 있어
이미숙의 뇌 MRI 결과에서 거의 보이지 않았던 백질 변성은 혈액 공급이 감소되었으나 뇌 조직이 아직 살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뇌 MRI에서는 뇌 중심 부위에 하얀 반점으로 보인다. 백질 변성은 직접적인 치매 진단기준은 아니다. 홍성규 원장은 “백질 변성은 나이가 들면서 누구나 어느 정도는 생길 수 있으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같은 혈관 위험 요인이 있으면 더 많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다만, 백질 변성의 정도가 심할수록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더 크다. 홍 원장은 “혈관성 치매나 혼합형 치매(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가 결합된 치매) 환자에게서 백질 변성이 의미 있게 관찰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검사 결과를 통해 조기에 치매 여부와 원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성 치매의 경우 임상 약물을 활용하거나 기억력 훈련, 인지 재활 치료, 작업치료 등을 진행하고,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등과 같은 위험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