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자동차 키에 휴대폰이나 키보드보다 세균이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동차 외부나 내부는 주기적으로 세차하지만 정작 자동차 키의 위생은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자동차 키는 가방이나 옷 주머니 등 여러 곳을 오가며 각종 전염성 세균에 쉽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최근, 자동차 키에 휴대폰이나 컴퓨터 키보드보다 세균이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샐퍼드대 연구팀이 자동차 키 위생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영국에 거주하는 운전자 2000명을 대상으로 평소 자동차 청소 습관과 위생 상태를 점검했다.

자동차 청소 습관 설문조사 결과, 참여자 중 3분의 1은 자동차 키를 한 번도 청소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그들 중 4분의 1은 5년 이상 자동차 키를 닦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자동차 키 오염 정도를 오염이 심한 기타 용품들과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은 멸균된 면봉으로 자동차 키, 휴대폰, 컴퓨터 키보드, 변기 시트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채취했다. 채취한 미생물을 실험실에서 배양한 뒤 DNA 시퀀싱을 거쳐 종류를 파악했다.


분석 결과, 변기 시트에서 표면 1cm²당 평균 1100CFU(집락형성단위) 박테리아가 검출됐다. 그 다음으로 자동차 키의 평균 박테리아 수가 많았는데 표면 1cm²당 평균 241CFU로 나타났다. 휴대폰과 컴퓨터 키보드는 각각 1cm²당 평균 66, 68CFU로 자동차 키의 박테리아 수가 이보다 약 네 배 많았다.

자동차 키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박테리아는 표피포도상구균으로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종류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무해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노인, 어린이, 기저질환자 등에게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15%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체내에 유입되면 피부 감염, 호흡기 감염, 식중독, 알레르기 반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종류였다.

연구를 주도한 샐퍼드대 미생물학자 조 라티머 박사는 “사소해 보이는 물건도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면 각종 질환 전염 위험이 확연히 감소한다”며 “스마트폰, 키보드 등을 관리하듯 자동차 키도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깨끗하고 부드러운 천과 표백 기능이 없는 순한 용액을 사용해 자동차 키 표면을 주기적으로 닦아낼 것을 권고했다. 하루에 한 번 알코올 솜으로 자동차 키를 닦는 것도 좋다. 자동차 키를 만진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자동차 키를 전용 장소나 용기에 보관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추천했다. 자동차 키에 실리콘이나 비닐 커버 등을 씌워두는 것도 세균 노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