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살 빼는 주사’가 피임약 효과 떨어뜨려… ‘동시 사용’ 말아야

오상훈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살 빼는 주사’로 불리는 비만치료제 일부가 경구피임약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권고가 나왔다.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은 최근 체중 감량이나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계열 의약품에 대한 지침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경고했다. GLP-1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도록 돕고 혈당을 올리는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식욕 감소를 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더 오래 포만감, 충만감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의약품 부작용 의심 사례를 신고할 수 있는 MHRA 창구에는 GLP-1 계열 의약품 사용자의 임신 관련 사례가 40건 접수됐다. 티르제파타이드를 주성분으로 한 의약품 마운자로는 총 26건이었는데 이중 한 건은 경구피임약을 복용하고 있었는데 임신한 사례였다. 오젬픽·위고비는 8건이었고 빅토자·삭센다는 9건이었으며, 이들 모두가 의도치 않게 임신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가디언 등 현지 언론은 예기치 않게 임신했다는 체중감량제 사용자들의 사례가 온라인에서 상당수 제기됐으며 이런 아기에게 ‘오젬픽 베이비’, ‘마운자로 베이비’와 같은 별칭이 붙고 있다고 전했다.


MHRA는 마운자로의 경우 “과체중 또는 비만인 사람에게서 경구피임약의 효과를 낮출 수도 있다”면서 “콘돔 등 비경구 피임 수단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지침에서 MHRA는 GLP-1 계열 의약품이 태아에게 유해한지 여부를 파악할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면서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시도할 때, 모유 수유 중일 때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다.

또한 예방 조치로 를 주성분으로 한 마운자로는 투약을 중단하고 1개월 뒤부터,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인 오젬픽과 위고비는 2개월 뒤부터 임신을 시도하도록 권고했다.

앨리슨 케이브 MHRA 최고안전책임자(CSO)는 “이런 제품은 의약품이므로 미용 치료로 사용돼선 안 된다”라며 “체중 감량을 위한 사용에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