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지방 식이를 저지방으로 바꾸면 췌장암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췌장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환자의 87%가 5년 이내에 사망할 정도로 가장 치명적인 암 가운데 하나다. 비만은 췌장암 위험을 50% 증가시키는 등 췌장암의 주요 위험 인자로 꼽히지만, 체중 감소로 이어지는 식이 변화가 췌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연구팀은 식이 변화가 췌장암 발생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췌장암 모델 생쥐에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21주간 먹이며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연구팀은 먼저 5주 된 췌장암 모델 생쥐 72마리를 3개 그룹으로 나눈 뒤 열량의 60%가 지방인 고지방 먹이와 열량의 11%가 지방인 저지방 먹이를 먹이며 췌장암 등의 진행을 관찰했다. 첫 번째 그룹은 21주간 고지방 먹이를 먹었고 두 번째 그룹은 저지방 먹이를 먹었다. 세 번째 그룹은 첫 8주는 고지방 먹이를 먹다가 13주 동안 저지방 먹이를 먹었다.

21주 후, 고지방 먹이 그룹은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체중이 1.7배 증가했고, 췌장에서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세포 변화도 60%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마리가 췌장암에 걸렸다. 저지방 먹이 그룹에서는 췌장암 발생이 없었고, 고지방 먹이에서 저지방으로 전환한 그룹은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고, 췌장 세포의 변화도 느려졌으며, 암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각 그룹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지방 먹이 그룹에서는 세포 대사, 췌장 기능, 면역 반응, 세포 간 신호 등과 관련된 유전자 활동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먹이를 저지방으로 바꾼 그룹에서는 이런 변화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고지방 먹이 그룹은 몸속에서 지방산(리놀레산)의 해로운 부산물이 증가하고 장내 미생물 환경도 나빠졌지만, 먹이를 저지방으로 바꾼 뒤에는 해로운 부산물이 줄고 장내 미생물 환경도 건강한 상태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연구의 저자 조애너 위커스 박사는 “연구 결과는 고무적이지만 생쥐 실험이어서 사람에게 적용하는 데는 신중해야 한다”라며 “그럼에도 식단 같은 생활습관 변화가 세포 수준에서 일어나는 일을 바꿀 엄청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저자 매켄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과체중을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걸 보여준다”라며 “특히 이 결과는 식단을 바꾸기에 너무 늦은 때는 없으며, 여전히 암 진행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영양학 저널(Journal of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