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일본 유명 여배우 히로스에 료코(45)가 활동을 중단했다./사진=히로스에 료코 공식 SNS
일본 유명 여배우 히로스에 료코(45)가 정신 질환으로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최근 일본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히로스에 소속사는 “히로스에가 양극성 장애와 갑상선기능항진증 진단을 받았고, 현재 퇴원 후 통원 치료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히로스에는 모든 활동을 멈추고 심신 회복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아이돌 출신 배우인 히로스에는 1990년대 일본의 ‘국민 여동생’으로 불리며 영화·방송·광고계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영화 ‘철도원’, ‘비밀’ 등의 작품으로 국내 팬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불륜과 간호사 폭행 건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지난달 히로스에는 교통사고 이후 시즈오카현의 한 병원에서 간호사를 발로 차고 할퀴는 등의 폭행을 가해 상해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이 사건으로 약 열흘간 구치소에 구금됐으며 현재는 불구속 상태로 수사를 받고 있다. 당시 석방 이후 차에 탑승하자마자 활짝 웃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23년에는 9살 연하의 유명 요리사와 불륜이 알려져 공개 사과하고, 남편과 이혼했다.


또 TV아사히는 최근 히로스에가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낯선 행인에게 난데없이 “히로스에입니다”라고 인사하거나, 운전 도중 도로로 뛰쳐나가려 하는 등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왔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이런 이상 행동이 최근 진단 받은 두 질환 때문일 수 있다는 목소리를 냈다. 히로스에 료코가 진단받았다는 양극성 장애와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대해 알아봤다. 

▷양극성 장애=양극성 장애는 기분 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다. ‘조울증’으로도 많이 알려졌다. 양극성 장애는 문제 증상이 일정 기간 나타났다가 호전되기를 반복한다. 이를 삽화라고 하는데, 양극성 장애 삽화에는 ‘조증·경조증 삽화’와 ‘우울증 삽화’가 있다. 조증·경조증 삽화일 때 환자들은 비정상적으로 기분이 들뜨거나 에너지가 증가한다. 흥분을 잘하며, 화를 잘 내고 비정상적인 사고의 흐름으로 인해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심할 경우 환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울증 삽화는 우울장애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재미를 느꼈던 일들에 흥미를 잃고, 만사에 귀찮아하며 사소한 일에도 신경질을 부린다. 불면 또는 수면과다 현상을 겪으며, 피곤함과 무기력감을 느낀다. 만약 이유 없이 2~3일 이상 기분이 들뜨거나 들뜬 기분이 1주일 이상, 우울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양극성 장애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에서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질환으로 ▲체중 감소 ▲식욕 증가 ▲지속적인 갈증 ▲심박수 증가 ▲근육 약화 ▲불안감 ▲피로감 ▲기분 변화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우울증 발병과도 관련이 있다. 실제로 서울시립대학 도시보건대학원 박상신 교수팀에 따르면, 갑상선기능항진증 여성의 우울증 유병률은 29.5%로,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여성(9.4%)보다 3배 이상으로 높았다. 갑상선 기능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갑상선호르몬이 원활하게 분비되지 않으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CRH)과 코르티솔 분비가 과도해져 뇌의 구조적·기능적 변화를 촉발하고, 이로 인해 우울증이 생길 수 있다는 이론이 제기된 바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을 방치하면 심장 질환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 치료는 항갑상선 약을 복용하거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 혹은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