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질환
“일찍 자겠다더니, 몇 시간 뒤 돌연 사망”… 영국 40대 男, 대체 무슨 일?
이아라 기자
입력 2025/05/11 11:00
[해외토픽]
지난 2일(현지시각) 더 미러 등 외신 매체에 따르면, 루 하인즈(48)와 남편 피트(40)는 회사의 동료로 처음 만났다. 각자 출장을 마치고 돌아온 후, 대화를 나누기 위해 술을 마시기로 했다. 이때부터 서로 호감을 가지고 연애를 한 후, 결혼식을 올렸다. 루 하인즈는 “피트는 정말 영리하고 밝고 재미있는 사람이었다”고 말했다. 평소와 같은 일상을 보내던 중, 피트는 “감기 기운이 있다”며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그때 갑자기 쿵 하는 소리가 들렸고, 루 하인즈는 쓰러진 피트를 발견했다. 곧바로 응급실로 실려 간 피트는 뇌가 부어올라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검사 결과, 그는 세균성 감염인 뇌수막염에 걸린 것으로 드러났다.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인 뇌수막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해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루 하인즈는 “심폐소생술을 했지만, 결국 피트는 불과 몇 시간 만에 사망했다”며 “건강했던 그가 갑자기 사망해, 충격이었다”고 말했다. 현재 슬픔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루 하인즈는 사람들이 죽음이라는 주제에 미리 준비하고 대화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뇌수막염은 생기는 원인에 따라 ‘세균성 뇌수막염’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으로 나뉜다. 공통증상으로는 초기에 감기처럼 고열, 오한, 두통 등이 나타난다. 만약 ▲체온이 38도 이상까지 오르는 등 일반 감기보다 증세가 심각하거나 ▲목이 뻣뻣하게 굳는 경부경직이 나타나며 ▲울렁거림, 설사, 구토 등을 동반한다면 ‘세균성 뇌수막염’을 의심할 수 있다. 세균성 뇌수막염은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만약 완치하더라도 난청, 시력 손상, 인지기능 장애 등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다.
반면,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80% 이상은 장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7~10일이면 자연적으로 호전된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노인은 치료받지 않으면 합병증에 걸리거나 심하면 사망할 위험이 있어, 병원을 빨리 가는 게 중요하다.
뇌수막염은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다. 개인위생만 철저히 지켜도 상당수 예방이 가능하다. 예방을 위해 외출 후에는 손과 발을 깨끗하게 씻고 양치해야 한다. 특히 영유아는 자신의 증상을 잘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의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 백신을 맞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