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에이즈 사망’은 남성이 여성보다 위험… ‘이 병’도 그렇다던데?!
신소영 기자
입력 2025/05/08 23:30
이 세 가지 질환은 남녀 모두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진단 이후 치료를 받지 않거나 적절히 관리하지 않을 경우 남성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덴마크 남부대 공중보건학 안젤라 창 교수 연구팀은 국제 보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남성과 여성의 건강 관리 과정을 추적하며, 위험 요인 노출부터 질병 진단, 치료, 사망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과 여성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에 걸릴 확률은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남성이 더 늦게 병원을 찾고 치료 참여율도 낮아 결국 사망률이 높았다. HIV/AIDS의 경우도 유사한 양상이 관찰됐다. HIV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를 의미하며, 이는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을 일으킨다. HIV에 감염되면 우리 몸에 있는 면역세포인 CD4 양성 T-림프구가 파괴되면서 면역력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각종 감염성 질환과 종양이 생기고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연구 저자인 안젤라 창 교수는 “흡연률이 남성에게 높고, 여성은 비만율이 더 높은 등 건강 경로 전반에 걸쳐 성별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보건 정책이나 개입은 이를 반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은 조사 대상 국가 중 86%에서 남성의 흡연율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65%에서는 여성의 비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질병이라도 남성과 여성에게 서로 다른 위험 요인이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국의 보건단체 Global Health 50/50의 CEO이자 연구에 참여한 사라 혹스는 “이 데이터는 남성과 여성이 어떻게 다르게 건강 문제에 대처하고 치료를 받는지를 보여준다”며 "단순한 생물학적 성별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형성된 젠더 차이가 많은 보건 격차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건 시스템이 이런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제대로 반영해야 모두가 더 공평하게 치료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남성들이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 치료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동시에 보건의료 시스템도 성별 차이를 인정하고, 이를 반영한 맞춤형 가이드라인과 치료 방안을 개발해야 할 시점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메디슨(PLOS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