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방에서 쫓겨나, 편하긴 해” 송진우, 일본인 아내와 각방 생활 고백… 무슨 일?
임민영 기자
입력 2025/04/30 23:10
[스타의 건강]
배우 송진우(39)가 일본인 아내와 각방을 쓰고 있다고 밝혔다.
5월 1일 방송 예정인 채널A ‘선 넘은 패밀리’에는 한-일 국제 부부인 윤지영과 토모유키의 집이 공개된다. 윤지영은 “우리는 부부 사이가 무척 좋다”며 “그 이유는 바로 ‘각방’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MC인 송진우는 “일본 부부들이 대체로 각방을 많이 쓴다”며 “일본에서는 부부가 ‘각방’을 쓰는 비율이 62% 정도로, 실제로 제 장인어른, 장모님도 방을 따로 쓰신다”고 말했다. 송진우는 2015년 일본인과 결혼해 슬하에 1남 1녀를 뒀다. 다른 출연진이 송진우에게 각방을 쓰는지 묻자, 송진우는 “아내 미나미가 두 아이를 재워야 해서 자연스럽게 방에서 쫓겨났다”며 각방 생활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솔직히 편하긴 편하다”며 각방 생활에 만족한다고 전했다.
송진우가 언급했듯이 실제로 최근 많은 부부가 결혼 후 시간이 지나면 다양한 이유로 침대를 따로 쓰거나 각방에서 자는 ‘수면 이혼’을 택한다. 2023년 미국수면의학회가 성인 약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3분의 1 이상 부부가 잠을 따로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27~42세 43%, 43~58세 33%가 가끔 또는 지속적으로 각방을 쓴다고 답했으며, 59~76세도 22%에 달했다.
수면 전문가들은 각방을 쓰면 수면의 질을 보장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또, 각자의 공간을 가짐으로써 자유를 존중해주고 부부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를 진행한 미국수면의학회 시마 호스라 박사는 “좋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기분이 나빠질 수 있고, 그 원인이 된 대상에 대한 분노로 인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수면 이혼으로 인해 감정적 거리가 생기거나 지나치게 관계가 소원해지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수면의 질을 위해 떨어져 잔다면 취침 전까지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어울리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배우자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잘 자고 있는지 한 번씩 살펴주는 것도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이나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 등은 함께 사는 사람만 발견하라 수 있다. 자다가 발생한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을 늦게 발견하면 병원 도착 전 사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과거 뇌혈관질환이나 심장질환을 진단·치료받은 적이 있다면 가급적 가까이서 함께 자는 것을 권한다.
5월 1일 방송 예정인 채널A ‘선 넘은 패밀리’에는 한-일 국제 부부인 윤지영과 토모유키의 집이 공개된다. 윤지영은 “우리는 부부 사이가 무척 좋다”며 “그 이유는 바로 ‘각방’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MC인 송진우는 “일본 부부들이 대체로 각방을 많이 쓴다”며 “일본에서는 부부가 ‘각방’을 쓰는 비율이 62% 정도로, 실제로 제 장인어른, 장모님도 방을 따로 쓰신다”고 말했다. 송진우는 2015년 일본인과 결혼해 슬하에 1남 1녀를 뒀다. 다른 출연진이 송진우에게 각방을 쓰는지 묻자, 송진우는 “아내 미나미가 두 아이를 재워야 해서 자연스럽게 방에서 쫓겨났다”며 각방 생활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솔직히 편하긴 편하다”며 각방 생활에 만족한다고 전했다.
송진우가 언급했듯이 실제로 최근 많은 부부가 결혼 후 시간이 지나면 다양한 이유로 침대를 따로 쓰거나 각방에서 자는 ‘수면 이혼’을 택한다. 2023년 미국수면의학회가 성인 약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3분의 1 이상 부부가 잠을 따로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27~42세 43%, 43~58세 33%가 가끔 또는 지속적으로 각방을 쓴다고 답했으며, 59~76세도 22%에 달했다.
수면 전문가들은 각방을 쓰면 수면의 질을 보장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또, 각자의 공간을 가짐으로써 자유를 존중해주고 부부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를 진행한 미국수면의학회 시마 호스라 박사는 “좋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기분이 나빠질 수 있고, 그 원인이 된 대상에 대한 분노로 인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수면 이혼으로 인해 감정적 거리가 생기거나 지나치게 관계가 소원해지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수면의 질을 위해 떨어져 잔다면 취침 전까지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어울리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배우자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잘 자고 있는지 한 번씩 살펴주는 것도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이나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 등은 함께 사는 사람만 발견하라 수 있다. 자다가 발생한 뇌졸중, 급성 심근경색을 늦게 발견하면 병원 도착 전 사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과거 뇌혈관질환이나 심장질환을 진단·치료받은 적이 있다면 가급적 가까이서 함께 자는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