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로슈, 71조 들여 美 생산시설 짓는다… ‘관세 폭탄’ 영향

정준엽 기자

이미지

사진=로슈 제공
글로벌 제약사 로슈는 향후 5년간 미국 생산시설에 500억달러(한화 약 71조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슈는 이번 투자로 미국에 8만3612㎡(2만5293평) 규모 비만 치료제 생산시설을 비롯해, 연속 혈당 모니터링 기기 제조시설(인디애나), 유전자 치료제 생산시설(펜실베이니아) 등을 새로 지을 예정이다.

이외에도 로슈는 매사추세츠에 연구개발(R&D) 센터를 건립해 심혈관·신장·대사 질환 연구 허브로 활용할 방침이다. 기존 애리조나·인디애나·캘리포니아에 있는 제약·진단 연구개발 센터를 확장하고, 공급망 거점으로 활용 중인 제조·유통 시설도 강화한다.


로슈의 이번 투자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리쇼어링(생산 시설의 미국 복귀)'으로 풀이된다. 비록 이달 초 의약품이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여전히 수입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사를 보이며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도록 제약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 내 대규모 투자 계획은 일라이 릴리, MSD, 존슨앤드존슨, 노바티스에 이어 다섯 번째다.

로슈 토마스 쉬네커 CEO(최고경영자)는 "신규·확장 생산시설이 완전히 가동될 경우 미국 내에서 수입하는 의약품보다 더 많은 의약품을 미국 외로 수출하게 될 것"이라며 "향후 5년 동안 5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통해 성장을 이어갈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