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남은 음식 ‘이곳’에 싸뒀다고 안심 안돼… 세균 폭풍 증식할 수도
임민영 기자 | 유예진 인턴기자
입력 2025/04/24 08:03
미국의 한 식품과학자가 남은 음식을 알루미늄 호일에 싸서 보관해도 식중독 위험 도사린다고 경고했다.
지난 21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미국 식품·제약 분야의 수분 측정 전문 기업 ‘AQUALAB’ 소속 식품과학자인 재커리 카트라이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채 음식을 보관하면 식중독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카트라이트는 “알루미늄 호일만으로는 완벽한 밀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며 “틈새로 유해 세균이 침투할 수 있다”고 했다.
카트라이트가 언급한 것처럼 알루미늄 호일은 표면을 감싸기엔 유용하지만 밀폐력이 떨어진다. 접착력이 없어 틈이 생기기 쉽고, 그 틈을 통해 공기 중 세균이나 오염 물질이 음식에 닿을 수 있다. 특히 냉장고 안에서는 교차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서로 다른 음식에서 나온 수분이나 세균이 냉장고 안에서 쉽게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세균이 음식에 침투하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으로는 리스테리아균과 살모넬라균이 있다. 이런 균들은 차가운 냉장고 안에서도 살아남기 때문에 보관 중에도 음식이 오염될 수 있다. 특히 고기나 유제품처럼 수분 함량이 높은 음식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면 ▲설사 ▲구토 ▲복통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의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회복이 더딜 수 있다.
남은 음식은 밀폐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공기 접촉을 줄여 세균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보관 전에는 음식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뜨거운 상태로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올라가 다른 음식까지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냉장고 안에 오래 두지 말고, 일반적인 조리 음식은 3~4일 안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지난 21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미국 식품·제약 분야의 수분 측정 전문 기업 ‘AQUALAB’ 소속 식품과학자인 재커리 카트라이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채 음식을 보관하면 식중독에 노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카트라이트는 “알루미늄 호일만으로는 완벽한 밀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며 “틈새로 유해 세균이 침투할 수 있다”고 했다.
카트라이트가 언급한 것처럼 알루미늄 호일은 표면을 감싸기엔 유용하지만 밀폐력이 떨어진다. 접착력이 없어 틈이 생기기 쉽고, 그 틈을 통해 공기 중 세균이나 오염 물질이 음식에 닿을 수 있다. 특히 냉장고 안에서는 교차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 서로 다른 음식에서 나온 수분이나 세균이 냉장고 안에서 쉽게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세균이 음식에 침투하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으로는 리스테리아균과 살모넬라균이 있다. 이런 균들은 차가운 냉장고 안에서도 살아남기 때문에 보관 중에도 음식이 오염될 수 있다. 특히 고기나 유제품처럼 수분 함량이 높은 음식은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면 ▲설사 ▲구토 ▲복통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의 경우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회복이 더딜 수 있다.
남은 음식은 밀폐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공기 접촉을 줄여 세균 침투를 막을 수 있다. 보관 전에는 음식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뜨거운 상태로 넣으면 냉장고 내부 온도가 올라가 다른 음식까지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냉장 보관이 필요한 음식은 2시간 이내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냉장고 안에 오래 두지 말고, 일반적인 조리 음식은 3~4일 안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