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펫

6세 넘은 고양이 기르세요? 85%가 겪는 ‘이 질환’ 주의 [멍멍냥냥]

이해림 기자 | 유예진 인턴기자

이미지

고양이가 6살이 넘었다면 치주 질환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고양이는 6살이 넘으면 치과 질환 위험이 커진다. 실제로 6살 이상 고양이의 85%가 치주 질환을 겪는다. 그러나 아파도 티를 잘 내지 않는 고양이 특성상 보호자가 질환을 눈치채기 어렵다. 치료하려면 전신마취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선이다.

치주 질환은 고양이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크게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뉜다. 초기에는 잇몸에만 염증이 생기지만, 방치하면 염증이 치아 뿌리까지 퍼져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다. 치석이 쌓이면서 세균이 증식하고, 이 세균이 잇몸 안쪽까지 침투해 염증을 일으킨다.

주요 증상은 ▲구취 ▲잇몸 출혈 ▲딱딱한 음식 기피 ▲식사 중 통증 등이다. 입을 자주 벌리거나 얼굴을 만지면 피하는 행동도 나타날 수 있다. 식욕은 정상인데 체중이 줄거나, 턱을 부딪치는 듯한 움직임을 보이면 치과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특히 6살 이상 고양이는 치석이 많이 쌓여 치주 질환 발생률이 높다.


치료는 염증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는 스케일링(치석 제거)으로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염증이 심하거나 치아가 흔들릴 경우에는 발치가 필요하다. 모든 치료는 전신마취로 진행되며, 이후 항생제 처방이나 진통제 투여가 병행된다. 치료 후에는 재발을 막기 위해 평소 구강 관리가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 어릴 때부터 양치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좋다. 처음에는 입 주변을 자주 만져 거부감을 줄이고, 손가락에 고양이용 치약을 묻혀 치아 겉면을 가볍게 닦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 자극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칫솔을 치아와 잇몸 경계 부위에 45도로 기울여서 대고, 작은 원을 그리듯 문질러준다. 하루 한 번은 양치질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양치 후에 간식을 주면 양치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어금니는 입을 다물고도 닦을 수 있으므로 억지로 입을 벌릴 필요는 없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