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질환
담배 가격 오른다… “이 참에 끊어볼까” 망설이는 이들, 꼭 보세요
이해림 기자
입력 2025/04/16 22:34
라면, 맥주에 이어 담배도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JTI코리아는 다음 달 1일부터 메비우스·카멜 등 9종의 담배 제품 가격을 최대 200원 인상한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메비우스 LBS’ 시리즈 5종(선셋비치·스파클링듀·시트로웨이브·맥스옐로우·아이스피즈)은 기존 4500원에서 4600원으로, ‘메비우스 이스타일 6’과 ‘이스타일 3’은 4200원에서 4300원으로 각각 100원씩 오른다. ‘카멜 블루’와 ‘카멜 필터’는 4000원에서 4200원으로 200원 비싸진다.
모두가 알다시피 담배는 몸에 좋을 것이 없다. 이 참에 끊는 것이 지갑 사정에도, 건강에도 이롭다.
우선 흡연자 본인에게 해롭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폐암 발병 위험이 최대 25배 이상 높고 후두암의 경우 10배 이상이다. 이에 대한내과학회는 지난 달 담배와 폐암의 명백한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담배 회사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대한내과학회는 성명서에서 “담배는 모든 암 발병·사망 원인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강암, 식도암, 방광암, 췌장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의 발병 위험도 흡연자에서 현저히 높다”며 “흡연으로 인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국민 건강보험 재정의 일부를 담배 회사가 부담하는 것이 정의롭고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담배는 가족의 건강도 망가뜨린다. 흡연자와 함께 살면 담배를 피우는 곳에 같이 있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흡연 과정에서 생기는 담배 입자가 흡연자의 옷이나 피부에 남아 비흡연자에게도 전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3차 흡연’이라고 한다. 흡연자와 같은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사람일수록 3차 흡연 위험 또한 높을 수밖에 없다. 실제 깨끗한 공기를 주입한 영화관에서 흡연자·비흡연자가 함께 영화를 관람한 결과, 공기 중 벤젠·포름알데히드·아크롤레인 등 담배 관련 독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미국 예일대). 시간이 지나면서 독성 물질의 농도는 옅어졌으나,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겐 특히 피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 어린 아이는 기본적으로 성인보다 호흡기가 약한 데다, 부모가 흡연할 경우 흡연자의 머리카락·옷 등과 자주 닿게 되기 때문이다. 담배의 독성 물질은 몸에 들어와 빠른 속도로 퍼지며, 체격이 작은 아이일수록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영유아가 3차 흡연에 노출되면 호흡기 감염, 천식, 뼈 발달 저하 등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메비우스 LBS’ 시리즈 5종(선셋비치·스파클링듀·시트로웨이브·맥스옐로우·아이스피즈)은 기존 4500원에서 4600원으로, ‘메비우스 이스타일 6’과 ‘이스타일 3’은 4200원에서 4300원으로 각각 100원씩 오른다. ‘카멜 블루’와 ‘카멜 필터’는 4000원에서 4200원으로 200원 비싸진다.
모두가 알다시피 담배는 몸에 좋을 것이 없다. 이 참에 끊는 것이 지갑 사정에도, 건강에도 이롭다.
우선 흡연자 본인에게 해롭다.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폐암 발병 위험이 최대 25배 이상 높고 후두암의 경우 10배 이상이다. 이에 대한내과학회는 지난 달 담배와 폐암의 명백한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담배 회사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대한내과학회는 성명서에서 “담배는 모든 암 발병·사망 원인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강암, 식도암, 방광암, 췌장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의 발병 위험도 흡연자에서 현저히 높다”며 “흡연으로 인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국민 건강보험 재정의 일부를 담배 회사가 부담하는 것이 정의롭고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담배는 가족의 건강도 망가뜨린다. 흡연자와 함께 살면 담배를 피우는 곳에 같이 있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흡연 과정에서 생기는 담배 입자가 흡연자의 옷이나 피부에 남아 비흡연자에게도 전해지기 때문이다. 이를 ‘3차 흡연’이라고 한다. 흡연자와 같은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은 사람일수록 3차 흡연 위험 또한 높을 수밖에 없다. 실제 깨끗한 공기를 주입한 영화관에서 흡연자·비흡연자가 함께 영화를 관람한 결과, 공기 중 벤젠·포름알데히드·아크롤레인 등 담배 관련 독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미국 예일대). 시간이 지나면서 독성 물질의 농도는 옅어졌으나,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겐 특히 피해가 치명적일 수 있다. 어린 아이는 기본적으로 성인보다 호흡기가 약한 데다, 부모가 흡연할 경우 흡연자의 머리카락·옷 등과 자주 닿게 되기 때문이다. 담배의 독성 물질은 몸에 들어와 빠른 속도로 퍼지며, 체격이 작은 아이일수록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영유아가 3차 흡연에 노출되면 호흡기 감염, 천식, 뼈 발달 저하 등으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반려동물에게도 해롭다. 담배 연기에 자주 노출된 반려동물은 기관지염과 악성종양(암) 발생 위험이 커진다. 퍼그, 시츄, 포메라니안처럼 코가 짧은 단두종을 기르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코가 짧은 만큼 코로 들어간 담배 연기가 폐에 더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사람보다 작아 소량의 노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실내 환기만으로는 3차 흡연을 막기 어렵다. 머리카락이나 몸, 옷에 묻은 담배 유해 물질은 환기해도 오래 남기 때문이다. 금연이 유일한 방법이다. 금연을 잘 하려면 의사와 상담하고, 약물치료를 받는 게 좋다. 미국 매사추세츠대 연구팀이 5000명 이상의 전자 담배 흡연자가 참가한 9개 연구를 분석해 알아낸 결과가 그 근거다. 니코틴 패치, 약물, 금연 껌, 전문가 개입 등 다양한 금연 방법을 비교 분석했더니, 부프로피온·바레니클린 등 금연 치료제를 썼을 때 금연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처방 약을 통해 금단 증상과 니코틴에 대한 갈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고, 금연 유지율도 높았다.
실내 환기만으로는 3차 흡연을 막기 어렵다. 머리카락이나 몸, 옷에 묻은 담배 유해 물질은 환기해도 오래 남기 때문이다. 금연이 유일한 방법이다. 금연을 잘 하려면 의사와 상담하고, 약물치료를 받는 게 좋다. 미국 매사추세츠대 연구팀이 5000명 이상의 전자 담배 흡연자가 참가한 9개 연구를 분석해 알아낸 결과가 그 근거다. 니코틴 패치, 약물, 금연 껌, 전문가 개입 등 다양한 금연 방법을 비교 분석했더니, 부프로피온·바레니클린 등 금연 치료제를 썼을 때 금연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은 처방 약을 통해 금단 증상과 니코틴에 대한 갈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고, 금연 유지율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