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몇 해 전 산 선글라스, 눈 노화 촉발 주범? ‘자외선 차단율’ 확인하는 법

신소영 기자

오래된 선글라스, 자외선 차단 효과 떨어져

이미지

제니./사진=제니 인스타그램
어느덧 강해진 봄 햇살에 선글라스를 꺼내는 사람이 많아졌다. 선글라스는 자외선을 차단해 눈의 노화와 질병을 예방해주는 실용적인 물건이다. 대개 선글라스는 한번 사두면 수년간 쓰게 되지만, 홈쇼핑 등에서는 선글라스도 유효기한이 있어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한다고 광고한다. 5년째 쓰고 있는 내 선글라스, 계속 착용해도 괜찮은 걸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선글라스에도 유효기한이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선글라스 렌즈 표면에 자외선 차단 코팅이 돼있는데,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그 차단 효과가 떨어진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한 실험에서 사용한 지 1~5년 된 선글라스의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1~2년 된 선글라스는 0%인 반면, 사용한 지 3년째인 선글라스는 5%, 4년째는 13%, 5년째는 47%로 측정됐다. 수치가 20~25% 이상 나오면 선글라스의 자외선 차단 기능을 상실했다는 의미다.

오래된 선글라스를 쓰면 오히려 눈에 좋지 않다는 말도 있는데, 사실이다. 선글라스를 끼면 시야가 어두워지면서 동공의 크기가 늘어난다. 그런데 이때 자외선 차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커진 동공 그대로 자외선을 받기 때문이다. 이는 광각막염, 백내장, 황반변성 등위 위험을 높이며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왜 시간이 갈수록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지는 걸까? 이는 선글라스의 자외선 차단 코팅이 운동이나 레저활동 등을 할 때 묻는 물, 땀, 바람, 열 등에 의해 벗겨지기 때문이다.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렌즈의 흠집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떨어뜨린다. 또한, 외부 환경에 따라 시간이 갈수록 선글라스 코팅의 산화 속도도 빨라진다. 2년 정도가 지나면 자외선 차단율이 많이 떨어진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브라질 상파울루대 연구팀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2년마다 선글라스를 교체해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고 꼭 3년이 지나면 무조건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다. 관리만 잘하면 선글라스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평소 손으로 렌즈를 만지는 것은 자제하고, 땀이나 이물질이 렌즈에 묻었다면 미온수에 중성세제를 풀어 10초 정도 흔들어 준 뒤 흐르는 물에 헹구는 게 좋다. 그늘에서 건조 후 물기를 완전히 없앤 뒤 케이스에 보관한다. 밝은눈안과 강남 천현철 원장은 "선글라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열이 강한 차량 내에 보관하는 건 좋지 않다"며 "6개월~1년에 한 번씩은 가까운 안경원에 가서 선글라스의 자외선 차단율을 확인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차단율이 떨어져 있으면 렌즈를 교체하는 것을 추천한다.

한편, 선글라스를 고를 때도 패션보다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천현철 원장은 "렌즈 색상의 농도는 75~80%가 적당하고, 모든 선글라스에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코팅이 된 제품인지 인증 마크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UV400은 400nm 이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99% 이상 차단한다는 의미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