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아직 20대인데, 3개월 시한부”… ‘이 암’ 늦게 발견한 英 여성, 이유는?
임민영 기자
입력 2025/03/19 14:24
[해외토픽]
영국 20대 여성이 유방암을 진단받아 현재 살날이 3개월 밖에 남지 않은 안타까운 사연이 전해졌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애슬리 엘러튼(29)은 2020년 가슴 통증을 겪어 병원을 방문했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가족력이 없고 암에 걸리기엔 너무 젊다”며 증상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이후 엘러튼은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기 시작했고 결국 유방암을 진단받았다. 수술과 항암치료, 유방절제술까지 받았지만 그는 암이 재발할까 봐 늘 두려워했다. 그러다 2022년 엘러튼은 패혈증(세균이나 세균의 독소가 혈중에 있으면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염증반응)으로 병원에 실려갔고, 의료진은 유방에 있던 종양이 간으로 전이된 것을 발견했다. 결국 의료진은 그에게 3년 시한부를 선고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엘러튼은 극심한 통증에 시달렸고, 여러 치료를 시도했지만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 현재 엘러튼은 살날이 3개월 정도밖에 안 남은 상황이다. 엘러튼은 “아이들은 내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며 “아이들과 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보낼 수 있게 올해 크리스마스까지만이라도 내 몸이 버텨주면 좋겠다”고 했다.
애슬리 엘러튼이 겪은 유방암은 유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말한다.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건강검진이나 자가 진단 중 멍울이 만져져 발견될 때가 많다.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유방의 크기나 모양이 바뀔 수 있으며, 유방 피부가 움푹 파이는 경우도 있다. 유방암은 현재 국내 여성암 발생률 1위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위험 요인은 알려졌다. 유방의 상피세포는 에스트로겐 등 여성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성장하고 분열한다. 이 상피세포들이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은 커진다. 보통 출산이나 모유 수유 경험이 없거나, 이른 초경이나 늦은 폐경으로 생리를 오래하면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된다. 이외에도 유전적 요인도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
유방암의 구체적인 자가진단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멍울을 확인하기 위해 왼쪽 팔을 든 채 오른쪽 손의 가운데 세 손가락으로 왼쪽 가슴을 젖꼭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 넓혀가면서 만져보면 된다. 반대쪽 팔을 들어 같은 식으로 오른쪽 유방을 만져본다. 팔을 위로 들면 유방 안에 있는 근육이 당겨지면서 멍울을 피부 쪽으로 밀어내 손에 더 잘 잡힌다. 멍울을 손으로 만졌을 때 ▲딱딱하고 ▲울퉁불퉁하며 ▲잘 움직이지 않으면 암일 수 있다. 암 덩어리는 주변 세포 조직을 침범해 엉켜있기 때문에 만져도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는다.
유방암은 기본적으로 암 부위를 절제하는 수술로 치료한다. 이때 암을 포함해 일부 정상 유방을 제거하는 유방 보존술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넓은 부위에 암이 퍼졌다면 유방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시도한다. 환자들은 수술로 암을 제거하나 다음 보조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는다. 유방암은 아직 예방법이 없다. 다만, 조기 발견하면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엘러튼에게 발생한 암 전이는 암세포가 원발장기를 떠나 다른 장기로 가면서 생긴다. 원발암에서 암조직이 성장해 직접적으로 주위 장기를 침윤하면 암세포가 퍼진다. 암세포는 혈관이나 림프계를 통해 퍼지기도 한다. 암은 간, 폐. 뇌 등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잘 전이된다.
특히 간은 심장과 장으로부터 혈액을 받기 때문에 암이 전이되기 쉽다. 림프계는 온몸에 퍼져있어 암세포가 림프관 내로 들어가 주변에 있는 림프절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증식하면서 종양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 림프계의 면역세포가 공격해 일시적으로 암세포가 퍼지는 것을 막기도 한다. 암의 전이 여부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때 중요하다.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침투하면 혈관 벽이 손상되고, 증식하면서 주위의 정상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전이암은 조직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8일(현지시각)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애슬리 엘러튼(29)은 2020년 가슴 통증을 겪어 병원을 방문했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가족력이 없고 암에 걸리기엔 너무 젊다”며 증상을 심각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이후 엘러튼은 가슴에 멍울이 만져지기 시작했고 결국 유방암을 진단받았다. 수술과 항암치료, 유방절제술까지 받았지만 그는 암이 재발할까 봐 늘 두려워했다. 그러다 2022년 엘러튼은 패혈증(세균이나 세균의 독소가 혈중에 있으면서 나타나는 전신적인 염증반응)으로 병원에 실려갔고, 의료진은 유방에 있던 종양이 간으로 전이된 것을 발견했다. 결국 의료진은 그에게 3년 시한부를 선고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엘러튼은 극심한 통증에 시달렸고, 여러 치료를 시도했지만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했다. 현재 엘러튼은 살날이 3개월 정도밖에 안 남은 상황이다. 엘러튼은 “아이들은 내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며 “아이들과 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보낼 수 있게 올해 크리스마스까지만이라도 내 몸이 버텨주면 좋겠다”고 했다.
애슬리 엘러튼이 겪은 유방암은 유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을 말한다.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건강검진이나 자가 진단 중 멍울이 만져져 발견될 때가 많다.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유방의 크기나 모양이 바뀔 수 있으며, 유방 피부가 움푹 파이는 경우도 있다. 유방암은 현재 국내 여성암 발생률 1위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위험 요인은 알려졌다. 유방의 상피세포는 에스트로겐 등 여성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성장하고 분열한다. 이 상피세포들이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은 커진다. 보통 출산이나 모유 수유 경험이 없거나, 이른 초경이나 늦은 폐경으로 생리를 오래하면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된다. 이외에도 유전적 요인도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
유방암의 구체적인 자가진단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멍울을 확인하기 위해 왼쪽 팔을 든 채 오른쪽 손의 가운데 세 손가락으로 왼쪽 가슴을 젖꼭지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 넓혀가면서 만져보면 된다. 반대쪽 팔을 들어 같은 식으로 오른쪽 유방을 만져본다. 팔을 위로 들면 유방 안에 있는 근육이 당겨지면서 멍울을 피부 쪽으로 밀어내 손에 더 잘 잡힌다. 멍울을 손으로 만졌을 때 ▲딱딱하고 ▲울퉁불퉁하며 ▲잘 움직이지 않으면 암일 수 있다. 암 덩어리는 주변 세포 조직을 침범해 엉켜있기 때문에 만져도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는다.
유방암은 기본적으로 암 부위를 절제하는 수술로 치료한다. 이때 암을 포함해 일부 정상 유방을 제거하는 유방 보존술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넓은 부위에 암이 퍼졌다면 유방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시도한다. 환자들은 수술로 암을 제거하나 다음 보조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를 받는다. 유방암은 아직 예방법이 없다. 다만, 조기 발견하면 생존율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엘러튼에게 발생한 암 전이는 암세포가 원발장기를 떠나 다른 장기로 가면서 생긴다. 원발암에서 암조직이 성장해 직접적으로 주위 장기를 침윤하면 암세포가 퍼진다. 암세포는 혈관이나 림프계를 통해 퍼지기도 한다. 암은 간, 폐. 뇌 등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잘 전이된다.
특히 간은 심장과 장으로부터 혈액을 받기 때문에 암이 전이되기 쉽다. 림프계는 온몸에 퍼져있어 암세포가 림프관 내로 들어가 주변에 있는 림프절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증식하면서 종양을 만드는 것이다. 이때 림프계의 면역세포가 공격해 일시적으로 암세포가 퍼지는 것을 막기도 한다. 암의 전이 여부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때 중요하다.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침투하면 혈관 벽이 손상되고, 증식하면서 주위의 정상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전이암은 조직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 줄 요약!
1. 애슬리 엘러튼(29)은 20대 중반에 유방암을 진단받았고 현재 전이돼서 살날이 3개월 남음.
2. 유방암은 국내 여성암 발생률 1위로 대부분 수술로 치료함.
3. 암 전이 여부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때 중요해서 미리 확인해야 함.
1. 애슬리 엘러튼(29)은 20대 중반에 유방암을 진단받았고 현재 전이돼서 살날이 3개월 남음.
2. 유방암은 국내 여성암 발생률 1위로 대부분 수술로 치료함.
3. 암 전이 여부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때 중요해서 미리 확인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