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질환
봄 되니 가려운 눈… 알레르기가 아닐 수 있다
최지우 기자
입력 2025/03/06 22:15
봄철 빈번히 발생하는 안질환
봄이 되면 유독 눈을 자주 깜빡이거나 가려움에 눈을 계속 비비는 사람이 많다. 봄 불청객인 황사와 미세먼지 등의 이유로 돌리고 방치하기엔 불편감이 크고 시력에 영향을 미칠까 걱정된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안센터장 김은철 교수의 도움말로 봄에 흔히 발생하는 안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공기 중 꽃가루, 먼지, 동물의 비듬 등에 의해 결막이 자극 받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에서는 봄철 황사와 꽃가루에 의해 주로 발병한다. 특히 황사는 중국으로부터 날아온 각종 중금속 성분과 먼지가 섞여있어 알레르기 증상도 심하고 눈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눈·눈꺼풀 주변 가려움증 ▲작열감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눈이 붉어지고 간지러운 증상이 가장 심하다.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처방을 받아 항히스타민 제재, 비만세포 안정제, 호산구 억제제 등을 점안해야 한다. 냉찜질을 동반하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다.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을 예방하려면 가급적 꽃가루나 황사가 많을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는 선글라스와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귀가 후 얼굴과 손발을 깨끗하게 씻은 뒤 인공눈물을 넣어 눈을 촉촉하게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된다.
◇봄철 각결막염
보통 10세 전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결막염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두 배 정도 많이 겪는다. 덥고 건조한 환경이 영향을 미쳐 4월에서 8월 사이 많이 발병한다. 아토피, 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 병을 동반하고 약 3분의 2가 가족력이 있다. ▲심한 가려움증과 이물감 ▲끈적끈적한 점액성 분비물 ▲결막충혈 ▲위눈꺼풀판 결막에 거대유두가 나타나는 증상이 동반된다. 특히 각막에 타원형의 방패형 궤양이 생겨 시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증상 초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안구건조증
주로 춥고 건조한 겨울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봄철 황사와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지면서 안구건조증도 심해질 수 있다. 대부분 알레르기 증상과 함께 따가움, 가려움증, 충혈, 눈물 흘림이 동반된다.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어야 증상이 나아진다.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후에는 세안을 깨끗이 하며 집에서는 가습기를 틀어 놓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유행성 각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은 대개 여름에 많이 생기지만 봄철 황사 및 미세먼지에 동반된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기도 한다. 초기에는 ▲눈물 증가 ▲충혈 ▲이물감 ▲눈부심 ▲시력 저하 등 알레르기성 눈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 알레르기로 오인할 수 있다. 발병 후 1~2주의 유병기간을 가지며 전염성이 있으므로 항상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고 수건이나 물건을 따로 사용해야 전염을 막을 수 있다.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 안약을 쓰며 수분과 영양분을 많이 섭취하는 게 좋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
공기 중 꽃가루, 먼지, 동물의 비듬 등에 의해 결막이 자극 받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에서는 봄철 황사와 꽃가루에 의해 주로 발병한다. 특히 황사는 중국으로부터 날아온 각종 중금속 성분과 먼지가 섞여있어 알레르기 증상도 심하고 눈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눈·눈꺼풀 주변 가려움증 ▲작열감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눈이 붉어지고 간지러운 증상이 가장 심하다.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처방을 받아 항히스타민 제재, 비만세포 안정제, 호산구 억제제 등을 점안해야 한다. 냉찜질을 동반하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다.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하는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을 예방하려면 가급적 꽃가루나 황사가 많을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는 선글라스와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귀가 후 얼굴과 손발을 깨끗하게 씻은 뒤 인공눈물을 넣어 눈을 촉촉하게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된다.
◇봄철 각결막염
보통 10세 전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결막염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두 배 정도 많이 겪는다. 덥고 건조한 환경이 영향을 미쳐 4월에서 8월 사이 많이 발병한다. 아토피, 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 병을 동반하고 약 3분의 2가 가족력이 있다. ▲심한 가려움증과 이물감 ▲끈적끈적한 점액성 분비물 ▲결막충혈 ▲위눈꺼풀판 결막에 거대유두가 나타나는 증상이 동반된다. 특히 각막에 타원형의 방패형 궤양이 생겨 시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증상 초기에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안구건조증
주로 춥고 건조한 겨울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봄철 황사와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이 심해지면서 안구건조증도 심해질 수 있다. 대부분 알레르기 증상과 함께 따가움, 가려움증, 충혈, 눈물 흘림이 동반된다.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어야 증상이 나아진다.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 후에는 세안을 깨끗이 하며 집에서는 가습기를 틀어 놓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유행성 각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은 대개 여름에 많이 생기지만 봄철 황사 및 미세먼지에 동반된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기도 한다. 초기에는 ▲눈물 증가 ▲충혈 ▲이물감 ▲눈부심 ▲시력 저하 등 알레르기성 눈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 알레르기로 오인할 수 있다. 발병 후 1~2주의 유병기간을 가지며 전염성이 있으므로 항상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고 수건이나 물건을 따로 사용해야 전염을 막을 수 있다.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 안약을 쓰며 수분과 영양분을 많이 섭취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