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지난해 의료 공백으로 ‘수혈’ 건수 감소… “1만6000명 치료 지연 예상”

오상훈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의료대란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 지난해 2월부터 7월까지 수혈 건수가 2023년 대비 2만 2000건 이상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상급종합병원의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 사용 건수는 13만 7645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2023년 2월부터 7월(15만 9854건)까지보다 13.9%(2만2209건) 감소한 수치다.




이미지

연도별 월별 상급종합병원 수혈 현황./사진=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윤 의원실 재구성
특히, 총 감소한 수혈 건수 2만2209건 중 1만2578건이 수도권에서 감소했고 이중 66.5%(8364건)가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소위 ‘빅5’ 병원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의료대란으로 인해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와 치료를 받지 못하는 환자가 종합병원으로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24년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종합병원의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 사용 건수는 13만8198건으로 2023년 2월부터 7월(13만4351건)까지보다 3847건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감소한 수혈 건수의 17.3%에 불과하다. 수혈이 필요한 환자가 갑자기 줄어든 게 아니라면 그만큼 수술과 치료받지 못한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상급종합병원에서 감소한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 사용 건수가 수술 및 치료를 받지 못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것이다. 2023년과 비교했을 때, 2024년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상급종합병원의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 사용 환자 수는 2만958명이 감소했지만, 종합병원은 4755명이 증가했다. 1만6203명의 환자는 수술과 치료를 못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김윤 의원실에 제출한 ‘전혈 및 혈액성분제제료와 함께 청구된 다빈도 질병 상위 20위’를 살펴보면,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골수성·림프성 백혈병, 다발골수종, 폐암, 췌장암 등이다. 이처럼 수혈이 필요한 질병은 대부분 중증으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김 의원은 “중증질환자의 수술과 치료에 필수적인 수혈 건수가 감소한 것은, 해당 환자들의 수술 또는 치료 지연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라며 “장기화하는 의료대란으로 중증질환자의 수술 및 치료 지연 등의 피해가 늘고 있으나, 정부는 이에 대한 정확한 상황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占쎄퓭爰귨옙占쎌삕�좎럩�뺝뜝�덈굦占쎈벨�숅넫臾믪굲 占쎌쥙�∽옙��삕占쏙옙�용쐻�좑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옙醫롫윥占쎈벨�숋옙占쎌굲壤깍옙占쎈뜄�됧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쎈벊彛띶뜝�덇턂占쎈틶�앾옙�덉굲�좎럩�쒙옙�쇱삕�ル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