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이미지
미국의 한 20대 여성이 암 투병으로 팔을 절단한 후 장례식을 치른 사연이 화제다./사진=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미국의 한 20대 여성이 암 투병으로 어쩔 수 없이 절단한 자신의 팔의 장례식을 치른 사연이 화제다.

지난 3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 매체에 따르면, SNS에서 51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인플루언서인 엘디아라 두셋(22)은 3년 전 활막육종을 진단받았다. 활막육종은 사지 관절을 감싸고 있는 활막에서 발생하는 희귀암이다. 연간 약 1000명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엘디아라 두셋은 팔에 생긴 활막육종으로 통증을 느꼈고, 암이 세 차례나 재발하면서 오른팔의 팔꿈치 아래 부위를 절단했다. 그는 오른팔을 위한 장례식을 열기로 결심했고, 절단된 팔을 방부 처리했다. 이후 장례식을 연 엘디아라 두셋은 자신의 팔과 함께 했던 22년간의 추억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내 팔은 많은 손을 잡았고, 사랑하는 이들의 피부를 느꼈고, 악기도 연주했다”며 “팔이 나를 죽이려 했다고 농담하곤 했지만, 결국 나를 위해 희생한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자신이 있다”고 말했다. 그가 공개한 오른팔 장례식 영상은 440만 개 이상의 ‘좋아요’를 받으며 큰 화제가 됐다. 현재 그는 오른팔 전단 수술을 한 뒤에도 암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엘디아라 두셋이 진단받은 활막육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활막육종, 통증 없다가 서서히 커져
활막육종은 매우 천천히 자라며 초기에는 특별한 통증이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손으로 보고 느낄 수 있을 만큼 덩어리의 크기가 커진다. 활막육종은 팔, 다리, 복부, 다리 등 신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가슴이나 머리, 목에서 생기는 경우도 있다. 통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느껴지고, 부어오르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한다. 활막육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특정 유전자 이상으로 보고 있으며, 다른 암과 달리 활막육종은 환경적 요인, 생활 습관, 가족력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 위해선 종양 부위 절단해야 
활막육종 치료는 종양이 생긴 부위를 절단한다. 팔이나 다리에 종양이 생긴다면 사지를 절단하는 식이다. 다만, 종양을 부분 절제하거나 주위 조직을 불충분하게 절제한 경우 수개월에서 1~2년 내 대부분 재발한다. 절제술 후에는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치료로 재발과 전이를 억제한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만큼 혹이 지속적으로 커지는 등 활막육종 의심 증상이 발생한다면 정확한 의사의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