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에 웹서핑을 즐겨하면 노년기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저장대 의과대 연구팀이 2011년부터 치매가 없는 45세 이상 1만2000명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이 평소 인터넷을 얼마나 자주 오래 사용하는지, 치매 징후가 있는지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했다.
약 1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웹서핑을 꾸준히 한 사람 중 2.2%에서 치매 증상이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은 5.3%가 치매에 걸렸다. 웹서핑을 꾸준히 한 사람 중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자보다 더 치매 가능성이 낮았다.
이전에도 웹서핑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바 있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이 치매가 없는 50세 이상 1만8100명을 최대 17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웹서핑을 정기적으로 하는 사람은 인터넷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약 43% 낮았다.
연구팀은 온라인에서 접하는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뇌에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인터넷 사용은 노화와 관련된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며 “주의력과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인지 예비력을 높인다”고 말했다. 소셜 미디어 등 온라인 활동을 통해 생기는 소속감도 치매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웹서핑은 전략적으로 하는 게 좋다. 단순한 웹서핑을 반복하기보다 주제를 정해놓고 여러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모으는 형태의 전략적인 인터넷 검색을 해야 집중력과 기억력이 강화된다. 하루 인터넷 서핑 시간 등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중국 저장대 의과대 연구팀이 2011년부터 치매가 없는 45세 이상 1만2000명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이 평소 인터넷을 얼마나 자주 오래 사용하는지, 치매 징후가 있는지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했다.
약 1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웹서핑을 꾸준히 한 사람 중 2.2%에서 치매 증상이 나타난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은 5.3%가 치매에 걸렸다. 웹서핑을 꾸준히 한 사람 중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컴퓨터 사용자보다 더 치매 가능성이 낮았다.
이전에도 웹서핑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바 있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이 치매가 없는 50세 이상 1만8100명을 최대 17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웹서핑을 정기적으로 하는 사람은 인터넷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약 43% 낮았다.
연구팀은 온라인에서 접하는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뇌에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인터넷 사용은 노화와 관련된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며 “주의력과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인지 예비력을 높인다”고 말했다. 소셜 미디어 등 온라인 활동을 통해 생기는 소속감도 치매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웹서핑은 전략적으로 하는 게 좋다. 단순한 웹서핑을 반복하기보다 주제를 정해놓고 여러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모으는 형태의 전략적인 인터넷 검색을 해야 집중력과 기억력이 강화된다. 하루 인터넷 서핑 시간 등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