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한국인, 혈압 오르면 치매 위험 가파르게 증가
세계 186개국 치매 발병 자료를 분석했더니, '고혈압'이 전 세계 치매 원인의 16%를 차지했다. 고혈압으로 혈관이 지속해서 손상을 입으면 혈관 유동성이 떨어진다. 혈관이 딱딱해지면 지질 등이 잘 끼어 통로가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가속화된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뇌졸중 후유증으로 뇌 조직이 손상돼, 혈관성 치매가 올 수 있다. 또 뇌 미세혈관이 손상돼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을 증가시킨다.
특히 한국인은 중년에 혈압을 잘 관리해야 한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년에 혈압이 높아지면, 노인보다 치매 위험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2005∼2013년간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으로 혈압을 측정한 42만여 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수축기 혈압이 10㎜Hg 높아질 때 40∼59세의 중년은 치매 발병 위험이 22% 증가했고, 60∼69세는 약 8% 증가했다.
◇똑똑한 콜레스테롤 'HDL', 고혈압·치매 예방에 도움
혈압과 치매를 모두 관리하려면 콜레스테롤 운반체인 'HDL' 수치를 높여야 한다. HDL은 혈관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청소부 역할을 해 혈압을 조절하고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한다. 혈압을 낮춰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고,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제거해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도 낮춘다. HDL을 높이려면 ▲유산소 운동하고 ▲금연하고 ▲가공식품 섭취를 줄여야 한다. 폴리코사놀 등 HDL을 높이는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