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우울증 환자의 '자살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
한희준 기자
입력 2024/12/02 11:04
자살로 이어지는 우울증은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 개입이 중요하다. 최근 화순전남대병원 연구팀이 자살을 예측하는 혈액 바이오마커와 우울증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 바이오마커란 질병에 대한 약물의 반응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를 말한다.
화순전남대병원 병리과 김형석, 법의학과 이수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민 교수팀이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혈액 바이오마커’와 ‘우울증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했다. 앞으로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위험과 우울증의 중증도를 임신 진단키트나 코로나19 진단키트처럼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100여 명의 주요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 위험 가능성을 예측하는 유전자 바이오마커 3종을 개발했다. 기존의 우울증 설문지(PHQ-9)보다 높은 정확도로 자살 위험군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특정 바이오마커를 통해서는 주요 우울 장애 환자의 중증도를 경증 우울증과 구분하는 데 성공했으며, 앞으로 치료 과정의 모니터링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김형석 교수는 “생물학적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사망 종류 판별은 법의학의 새로운 과학적 접근 방식이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의 큰 난제인 자살 예방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뇌질환극복연구사업), 전남대병원(의사과학자양성사업)을 통해 진행됐다.
화순전남대병원 병리과 김형석, 법의학과 이수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민 교수팀이 ‘자살을 예측할 수 있는 혈액 바이오마커’와 ‘우울증의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했다. 앞으로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위험과 우울증의 중증도를 임신 진단키트나 코로나19 진단키트처럼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검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팀은 100여 명의 주요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 위험 가능성을 예측하는 유전자 바이오마커 3종을 개발했다. 기존의 우울증 설문지(PHQ-9)보다 높은 정확도로 자살 위험군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특정 바이오마커를 통해서는 주요 우울 장애 환자의 중증도를 경증 우울증과 구분하는 데 성공했으며, 앞으로 치료 과정의 모니터링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김형석 교수는 “생물학적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사망 종류 판별은 법의학의 새로운 과학적 접근 방식이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의 큰 난제인 자살 예방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뇌질환극복연구사업), 전남대병원(의사과학자양성사업)을 통해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