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지난 11일, 국회에서 열린 여의정 협의체 1차 회의​./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경상북도 국립의대 신설’을 약속한 가운데 2025학년도 의대정원 증원에도 동의하지 않았던 의료계의 반발이 거세지는 모양새다. 대한의학회는 ‘여의정 협의체’ 참여 중단을 논의할 전망이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 대표는 지난 26일, 경상북도가 의원회관에서 열린 ‘경상북도 국립 의과대학 신설 촉구 토론회’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토론회서 한 대표는 “경상북도 국립 의과대학의 신설을 우리 국민의힘 차원에서 강력하게 지원, 지지한다”며  “결국 다 잘 살자는 건데 (경북에) 제대로 된 상급종합병원 하나 없다는 이 현실을 하나하나 바꿔나가자”고 말했다.

이에 의료계는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대표 주도로 구성된 여의정 협의체에서 2025년 의대 모집인원 축소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자율성 보장 등에 대해 얘기하고 있는데 또 다른 자리에서 ‘의대 신설’을 거론했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한동훈 대표의 발언은 협의체가 ‘알리바이용’ 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라며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건 의사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게 병원을 지원하는 것이지 의과대학 신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의협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구성한 허수아비 협의체로 필수의료 파탄을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라며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에 협의체에서 나올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여의정 협의체 파행 가능성도 점쳐진다. 협의체에 참여중인 대한의학회, KAMC 각각 29일 오전, 오후에 회의를 열어 협의체 참여 중단 여부 등을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두 단체는 협의체 참여 조건으로 의대 증원에 반대해 수업을 거부 중인 의대생 휴학 승인과 2025~2026학년도 의대정원 논의 등을 제시했다. 정부가 의대생 휴학을 승인했지만, 내년도 의대정원 문제는 세 차례 협의체 회의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