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일반

“식은땀 줄줄, 안면홍조까지”… 14세에 조기 폐경? 알고 보니 몸에 ‘이것’ 없어

김예경 기자

[해외토픽]

이미지

헤일리 브룩스의 14세 모습(왼)과 조기폐경 여성을 위해 사회적 활동을 하는 헤일리 브룩스(오)의 모습​/사진=더 선
14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폐경을 겪은 영국 40대 여성의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7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더선에 따르면 영국 런던의 헤일리 브룩스(43) 12세에 월경을 시작했다. 1년 후 브룩스는 식은땀, 안면홍조, 불면증에 시달렸다. 학교생활에 집중할 수 없었으며 기분이 들쭉날쭉하고 컨디션도 좋지 않았다. 브룩스는 병원을 찾아 혈액‧초음파 검사를 받았다. 검사 결과 난소가 한 개일뿐더러 난소에 난자가 없다며 ‘조기폐경’ 진단을 받았다. 이후 호르몬대체요법을 받았으나, 장기적으로 치료받지 못했다. 브룩스는 “폐경 증상으로 고통받았고, 신체적으로 힘들기도 했지만 이런 진단을 받았다는데 수치심을 느꼈다”며 “특히 성인이 된 후 인생의 실패자처럼 느끼며 살아, 치료를 중단했다”고 말했다. 브룩스는 40세에 남자아이를 입양했다. 현재는 전업주부로 살고 있으며 조기 폐경으로 인해 힘들어하는 여성을 돕고 경각심을 높이고자 조기폐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브룩스는 “폐경에 정해진 나이가 없다”며 “폐경은 10대, 20대, 30대 이후 언제든 일어날 수 있으니 여성들에게 적절한 지원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기 폐경은 40세 이전에 난소 기능이 중단된 것을 말한다. 보통 폐경은 45~55세 사이에 시작된다. 조기 폐경은 정상적인 상황보다 일찍 난소 기능이 떨어진 상태라 여러 건강 문제가 발생한다. 조기 폐경도 일반적 폐경과 마찬가지로 완전히 폐경되기 전에 생리가 불규칙해지면서 각종 폐경 증세가 조금씩 나타난다. 안면 홍조, 두통, 불안함, 우울감, 요실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조기 폐경의 정확한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경우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실제로 스트레스는 난소의 수를 줄인다고 알려졌다. 스트레스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수치를 낮추는데, 이는 난소에서 생성되는 난자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기 폐경 여성은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여성 호르몬 보충 요법을 시도한다. 여성 호르몬을 투여하는 방법은 폐경 후 발생하기 쉬운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치료를 받으면서 자극적인 음식, 카페인 음료, 술, 담배를 멀리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또한 조기 폐경을 예방하려면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기름진 음식이나 유제품, 카페인 음료는 피해야 한다. 콩, 두부, 신선한 채소와 과일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