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이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따른 사업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핵심 사업인 바이오시밀러는 물론,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과 환율·관세 측면에서도 우호적 사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은 12일 홈페이지를 통해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사업 영향과 전망’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회사 측은 “미국 내 의료비 지출 규모는 2023년 기준 미국 전체 GDP의 17.6%에 해당할 만큼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럼프 1기 정부에서는 약가 인하를 위한 미국 우선 행정명령을 비롯해 미국 환자 우선 계획 등을 시행했으며, 해당 정책은 경쟁 강화·표시가격 인하 등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 내용들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트럼프 2기 정부 역시 과거 임기 당시 정책들을 계승·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의료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바이오시밀러 처방 확대에 우호적인 제반 환경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트럼프 1기 정부에서는 제약사들이 PBM 등에 리베이트 지급을 금지하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하며 의약품 비용 통제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 역시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 우호 정책이라는 의견이다.

회사 측은 “트럼프 정부는 주요 정책인 감세를 통해 경기부양의 부작용인 재정적자 심화를 완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이를 위해 PBM 제도 개선을 추진하면서 바이오시밀러 사용 확대를 촉진하는 정책을 도입한다면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의 판매량 확대를 이끌 기회도 만들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 사진 = 연합뉴스DB

셀트리온 차기 핵심 사업인 CDMO에도 긍정적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 또한 이 같은 흐름에 맞춰 연내 CDMO 법인을 설립하고, 100%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 형태로 국내 또는 해외에 신규 공장을 확보해 해당 시설을 CDMO 사업에 적극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셀트리온 측은 “미국 생물보안법은 공화당-민주당이 초당적으로 합의해 통과한 법안”이라며 “트럼프 2기 정부에서도 해당 기조가 유지돼 입법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셀트리온은 환율·관세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 측은 “트럼프 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핵심 정책 기조로 삼고 있는 만큼, 무역 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금리 상승의 압력으로 상당 기간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이 경우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수출 기반으로 실적을 형성하고 있는 셀트리온에도 일정 기간 동안 긍정적 영업 여건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했다. 이어 “당사 의약품의 경우 WTO 합의에 따라 관세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관세 인상에 추가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타 업종과 달리 순수 사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