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상급병원 구조 전환 사업에 13곳 추가… 전체 65% 참여

오상훈 기자

이미지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 주재하는 박민수 차관./사진=연합뉴스
상급종합병원을 중증 질환 중심으로 재편하는 구조 전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이 13곳 추가됐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지원사업 3차 선정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 사업은 상급종합병원을 본래 역할에 맞게 중증도와 난도가 높은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탈바꿈시키는 게 목표다. 경증 환자는 지역 병의원과 협력해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의 전반적인 구조를 바꾼다.

이번 3차 선정 평가 결과, 강릉아산병원, 건국대병원, 건양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 부산백병원, 순천향대부천병원, 영남대병원, 원광대병원, 원주세브란스병원, 이대목동병원, 조선대병원, 충남대병원(가나다순) 등 13곳이 추가 선정됐다.


이로써 전체 상급종합병원 47곳 중 31곳이 선정돼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이 65%를 넘어섰다. 3차 선정된 31곳 외에도 상급종합병원 5곳이 추가로 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신청한 상태다. 정부는 더 많은 의료기관이 동참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신청 기간을 두고 모집할 예정이다.
박 차관은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환자 중심 병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조 전환에 최선의 지원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내년 전공의 수련 환경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꼼꼼히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공의 근무 시간을 주당 80시간에서 60시간으로 줄이고 내실 있는 수련을 위해 담당 전문의를 지정하는 등 전공의들이 여러 종류의 의료기관에서 중증부터 경증까지 다양한 임상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박 차관은 “정부는 전공의들이 수련환경 개선에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국회에서 수련체계 혁신을 위한 예산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