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9년간 안 멈추던 기침"… 기관지에 낀 '이 조각' 때문이었다, 뭐였을까?
이해나 기자 | 윤승현 인턴기자
입력 2024/10/29 19:35
[해외토픽]
미국 VA 롱비치 의료센터 의료진은 42세 남성 A씨가 지난 9년간 간헐적인 기침을 끊임 없이 해왔다며 병원을 찾았다고 밝혔다. 그는 발열, 오한, 식은땀도 겪었다. A씨는 두 달 전에도 비슷한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했지만, 7일 동안 항생제(레보플록사신)를 투여받고 증상이 나아져 돌아갔다. 과거 정원사로 일했던 그는 흡연하거나 마약을 한 적이 없다고 했다. 수술 이력도 없었다. 하지만 흉부 X선 촬영 결과, 왼쪽 주기관지가 협착되고 폐 기저부가 유착된 상태였다. 흉부 CT(컴퓨터단층촬영) 사진에서는 폐와 가슴뼈 사이 공간인 종격동 림프샘의 비대가 나타났다. 폐의 염증 반응으로 생기는 광범위한 TID(Tree-in-bud) 혼탁도 보였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 결과, 증상의 원인은 12년 전 치실 대신 사용했던 알루미늄 음료수 캔 조각이었다. 의료진은 남성의 기관지에서 2.7cm 크기의 금속 이물질을 제거했다. 이물질 제거 후에도 기관지협착이 나아지지 않아 1개월 동안 풍선을 활용한 확장법, 병변 부위를 제거하는 전기소작법 치료를 받았다. 치료 후 좌측 폐의 혼탁과 기관지협착이 개선됐으며, 만성 기침도 사라졌다.
VA 롱비치 의료센터 의료진은 "만성 기침은 기관지염, 천식 등으로 오진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이물질 흡인이 가벼운 증상으로 나타나 흡인 사실을 모르고 넘어가는 환자가 많다"며 "만성 기침이 가장 흔하고, 발열, 호흡곤란, 객혈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항균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재발성 폐렴은 이물질 또는 종양에 기관지가 막혔을 가능성을 고려해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사례는 '호흡기내과사례보고(Case Reports in Pulmon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