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전 아나운서 김현태(57)가 양치의 중요성을 간과했던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모습./사진=MBN '속풀이쇼 동치미' 캡처
전 KBS 아나운서 김현태(57)가 구강 관리에 소홀했던 과거에 대해 털어놨다.

지난 29일 방송된 MBN '속풀이쇼 동치미'에 전 아나운서 김현태가 게스트로 출연했다. 그는 "원래 대부분의 남자가 잘 안 씻는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물 부족 국가에서 하루 1회만 씻으면 된다고 생각한다"며 "술 마시고 들어가면 양치를 안 한다"고 밝혔다. 주변에서 경악하자 김현태는 "30대, 아니 40대 중반까진 안 했다"며 "아침에 닦았으니까"라고 변명했다. 지금은 달라졌다면서 과거 그랬던 이유에 대해 "저는 양치를 하면 잠이 안 온다"며 "그것 때문에 (아내와) 대판 싸운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 이게 문제라는 걸 깨닫고 열심히 (이를) 닦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근데 생각해 보면 우리 어렸을 땐 목욕을 일주일에 1회 정도만 하지 않았냐"며 "그거에 비하면 지금은 낫다"고 덧붙였다.

◇올바른 양치, 당뇨병·치매 위험도 낮춰
양치를 제때, 충분히 하지 않으면 충치와 잇몸병 등 구강 질환에 걸릴 뿐 아니라 △두경부암 △당뇨병 △치매 △심혈관질환 등의 각종 질환 발병 위험도 커진다. 반대로 구강 관리를 철저히 하면 두경부암 발병 위험을 30% 낮출 수 있다. 미국 뉴욕대 연구팀이 15만 9840명을 대상으로 구강 내 박테리아와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여자들의 타액 샘플을 채취해 구강 미생물 유전적 구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구강 내 미생물 중 13종이 두경부암 발병 위험을 30% 높였다. 이전 연구에서 두경부암 환자의 타액 샘플에서 13종의 미생물 중 일부가 검출된 바 있다. 당뇨병의 경우 치아 세균은 혈관을 타고 췌장으로 이동해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등 포도당 대사에 영향을 미쳐 발병 위험이 커진다. 구강 위생 불량으로 인해 잇몸병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당뇨병 발병 위험이 26% 높다는 영국 버밍엄대 연구 결과도 있다. 구강 위생 관리로 치매도 예방할 수 있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이 미국인 6000여 명을 26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잇몸병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22% 더 높았다. 철저한 구강 관리는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 낮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에 의하면, 잇몸병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혈관질환 발병 및 사망 위험이 49% 높았다. 잇몸병을 방치하면 구강 내 세균과 염증 물질들이 혈관을 타고 퍼지며 혈액순환이 저하되고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한편, 술을 마시고 쓰러져서 잠드는 음주 습관이 누적되면 치주염이나 충치 등 구강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술은 구강 내 침 생성을 억제해 입안 자체 세정 기능을 떨어트리고, 충치 원인균을 활성화해 치주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구강 내 우식균, 치주질환균은 치면세균막(oral biofilm)을 기반으로 번성한다. 치면세균막은 구강 내에 타액, 유기물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성되고, 치면세균막의 침착이 지속되면 치석이 될 수도 있고, 충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잠자는 동안 입안에선 침 분비량이 줄고 세균 번식이 왕성해진다.​

◇치실·치간 칫솔 등 사용해 꼼꼼해 닦아야
올바른 양치질을 위해서는 하루에 3번, 식후 3분 이내, 3분 동안 양치질하는 ‘333 양치법’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음식물을 섭취한 뒤 3분 이내에 닦도록 습관을 길러줘야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한 뒤 3분 이내에 이를 닦지 않으면 산이 생성돼 충치가 생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루 중 최소 주식과 간식 후, 그리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는 이를 닦고 양치할 때는 치아를 닦는 순서를 정해 빠지는 부분 없이 모든 부위가 골고루 닦도록 하며, 순서는 자신이 편한 방법으로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치실, 치간 칫솔 등의 도구를 적절히 활용하고 정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받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