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2회 이상 양치질만 열심히 해도 퇴원일이 앞당겨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 부속 브리검여성병원 연구팀은 병원에 입원한 환자 2786명에 대한 15개의 임상시험 결과를 이용해 양치 습관과 퇴원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이 중 2033명이 중환자실 입원 환자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하루 2번 이상 매일 규칙적으로 양치를 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2.85일까지 중환자실에서 일찍 퇴원했다. 중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병원 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 발병률도 효과적으로 예방해 사망 위험률도 낮췄다. 특히 삽관해 기계호흡의 도움을 받는 중환자실 입원환자일수록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 발생률도 0.68배 감소했으며, 기계호흡기를 떼는 시기도 최대 2.42일 앞당겨졌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병원 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에 가장 취약하다. 규칙적인 양치질로 인해 환자 입 속의 박테리아 양을 줄일 수 있어 폐렴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마이클 클롬파스 교수는 “환자가 스스로 양치할 수 없다면, 의료진이나 간병인 등이 이를 도울 필요가 있다”며 “향후 의료기관이 입원환자에게 규칙적인 양치질 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
미국 하버드의대 부속 브리검여성병원 연구팀은 병원에 입원한 환자 2786명에 대한 15개의 임상시험 결과를 이용해 양치 습관과 퇴원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이 중 2033명이 중환자실 입원 환자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하루 2번 이상 매일 규칙적으로 양치를 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2.85일까지 중환자실에서 일찍 퇴원했다. 중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병원 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 발병률도 효과적으로 예방해 사망 위험률도 낮췄다. 특히 삽관해 기계호흡의 도움을 받는 중환자실 입원환자일수록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 발생률도 0.68배 감소했으며, 기계호흡기를 떼는 시기도 최대 2.42일 앞당겨졌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병원 내 감염으로 인한 폐렴에 가장 취약하다. 규칙적인 양치질로 인해 환자 입 속의 박테리아 양을 줄일 수 있어 폐렴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마이클 클롬파스 교수는 “환자가 스스로 양치할 수 없다면, 의료진이나 간병인 등이 이를 도울 필요가 있다”며 “향후 의료기관이 입원환자에게 규칙적인 양치질 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