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비만 전문가들 "위고비 오남용 현실화…미용 목적으로 쓰면 부작용 심각"
이금숙 기자
입력 2024/10/23 11:26
식품의약품안전처가 GLP-1 비만치료제 '위고비' 출시일인 지난 15일부터 온라인 불법 판매·광고 행위를 집중적으로 단속할 것을 경고했지만, 미용 목적으로 위고비를 입수해 유통거래 하는 일이 발생했다. 국내 출시 첫 주 만에 오남용 우려가 현실화된 것. 전문가들은 위고비가 비대면 진료를 통해 무작위로 처방돼 오남용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출시전부터 경고해왔다. 비만 전문 의사 학술 단체인 대한비만학회는 GLP-1 같은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의 불법 유통에 따른 부작용 등을 우려해 23일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한비만학회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비만병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서 만들어진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이 약물의 치료 대상자는 체질량지수(BMI) 기준으로 명확히 정해져 있다"며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체중감량 효과와 함께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흔한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담낭질환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을 위험이 높아지며 장폐쇄와 위 내용물의 배출지연으로 흡입성 폐렴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췌장염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동안 반드시 의료진에 의한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비만병 치료 목적이 아닌 미용 등 인크레틴 기반 항비만약물의 적응증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 시에 약물의 치료 효과를 얻기보다는 부작용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한비만학회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적응증을 지켜서 치료 대상자인 비만병 환자만이 사용하도록 촉구했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기존에 출시된 GLP-1 수용체작용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성분의 ‘삭센다’가 처방이 불가능한 치과나 한의원에서 불법적으로 유통되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들이 있었으며, 불법적으로 온라인에서 거래되기도 했다고 학회측은 밝혔다.
대한비만학회는 "‘위고비’ 등 항비만약물의 오·남용과 부작용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의사와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과 관련 정부기관들의 적극적인 행동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했다.
대한비만학회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비만병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서 만들어진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이 약물의 치료 대상자는 체질량지수(BMI) 기준으로 명확히 정해져 있다"며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체중감량 효과와 함께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흔한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담낭질환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을 위험이 높아지며 장폐쇄와 위 내용물의 배출지연으로 흡입성 폐렴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췌장염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동안 반드시 의료진에 의한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비만병 치료 목적이 아닌 미용 등 인크레틴 기반 항비만약물의 적응증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 시에 약물의 치료 효과를 얻기보다는 부작용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한비만학회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은 적응증을 지켜서 치료 대상자인 비만병 환자만이 사용하도록 촉구했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크레틴 기반의 항비만약물의 오·남용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기존에 출시된 GLP-1 수용체작용제 리라글루타이드(liraglutide) 성분의 ‘삭센다’가 처방이 불가능한 치과나 한의원에서 불법적으로 유통되어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들이 있었으며, 불법적으로 온라인에서 거래되기도 했다고 학회측은 밝혔다.
대한비만학회는 "‘위고비’ 등 항비만약물의 오·남용과 부작용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의사와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과 관련 정부기관들의 적극적인 행동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