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10년 새 성조숙증 2.6배로 증가… 남아 비율 늘고 있다

오상훈 기자

이미지

그래픽=김남희
이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는 질환인 성조숙증을 겪은 아이들이 최근 10년 사이 2.6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아의 비율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는 2014년 9만6733명에서 지난해 25만1599명으로 160% 급증했다. 올해도 7월까지 벌써 19만4803명이 성조숙증을 진단받았다.

조발 사춘기로도 불리는 성조숙증은 이차 성징이 이르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자 아이가 8세 이전에 가슴이 발달하고 남자 아이가 9세 이전에 고환이 커지거나 음모가 발달하면 성조숙증을 의심할 수 있다.

원래 성조숙증을 겪는 아이들 10명 중 8명은 여아였다. 그러나 최근 남아의 비중이 늘고 있다. 2014년 8.1%였던 남아의 비율은 지난해 말 19.3%까지 늘었다.


여아의 성조숙증 중 90%는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성조숙증이다. 남아의 성조숙증은 50%가 특발성이고 나머지 절반은 뇌종양, 선천성 뇌기형, 수두증, 뇌염,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다.

성조숙증은 치료하지 않으면 최종 키가 줄어들거나 초경도 앞당겨진다. 아울러 아이가 이른 신체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아 학업 성취도가 떨어질 수 있다. 실제 정신건강의학과 공동 연구에 따르면 성조숙증을 치료하지 않았을 때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향후 성인이 됐을 때 여성암과 전립선암 등의 발생률이 높아지기도 한다.

박희승 의원은 “성숙이 지나치게 빨라지면 성장 호르몬 불균형으로 성장판이 조기에 닫힐 우려가 있고,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각종 질환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