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성조숙증, 섣불리 치료 말아야… 6개월간 뼈 관찰 필수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7/01/18 09:02
성호르몬 억제하는 게 기본 치료, 뼈 성장 안 빠르면 안 맞아도 돼
"예측 키에 연연해 결정하지 말길" 여러 의사 의견 듣는 것도 도움
성조숙증 한방 치료로 유명한 강남의 모 한의원에서는 초경을 늦춘다거나 가슴 몽우리가 생기지 않도록 해준다는 등의 한약을 조제해 처방하고 있다. 보름치가 최대 30만원 정도로 약값도 싸지 않은 편이다. 한의업계에 종사하는 한 관계자는 "최근 한의원이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도 성조숙증 전문 한의원은 잘 되고 있다"며 "성조숙증은 현재 소아청소년과에 가면 성호르몬을 억제하는 주사 외에는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라, 부모들이 '가슴 몽우리를 풀어준다'는 등의 문구에 쉽게 현혹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성조숙증 진단과 치료
성조숙증은 뼈 나이(엑스레이)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황체화 호르몬 농도(혈액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보통 뼈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두 살 이상 많고, 황체화 호르몬 농도가 5IU/L 이상이면 성조숙증으로 본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김호성 원장(소아내분비학과)은 "성조숙증으로 의심이 돼도 6개월 정도 기간을 두고 뼈 성장이 얼마나 빨리 진행되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검사를 다시 해서, 뼈가 6개월 동안 자라야 할 만큼보다 더 자랐으면 그때 치료를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는 성장기 어린이에게 불필요한 약을 투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추적 관찰 기간을 충분히 두지 않고 바로 치료를 시작하는 병원이 적지 않다. 뼈 나이와 황체화 호르몬 농도가 심각한 수준이 아닌데 치료를 권하는 병원도 있다. 실제로 한 온라인 카페에는 "아이의 뼈 나이가 1.5년 빠르고, 호르몬 수치가 4.6인데 주사를 맞게 해서 얼떨결에 맞히고 왔다" 등의 글이 올라와 있다.
◇"여러 의사 의견 듣고, 예측 키에 연연 말아야"
성조숙증 한방 치료에 대해, 한 대학병원의 교수는 "한의학에서는 호르몬이 잘 억제되는지, 뼈 성장 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오는지 등의 기준을 갖고 치료하는 게 아니라서 객관적인 효과를 알 길이 없다"며 "너무 맹신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장호르몬제, 성조숙증 치료약 아냐
성장호르몬 주사는 저신장증(같은 성별·연령의 소아 100명 중 3번째 미만으로 작은 것)을 치료할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성조숙증 치료에 쓰지 않는다. 효과가 불분명한데 비용만 비싸다(체중이 30㎏인 아이를 기준으로 1년에 약 1000만원이 듦). 1000명 중 한두 명꼴로 갑상선 기능 이상, 혈당 상승 등의 부작용 위험도 있다.
☞성조숙증
여아 8세, 남아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것. 성장판이 빨리 닫히기 때문에 키가 덜 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