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코로나19 확진됐던 소아·청소년, ‘이 병’ 위험 높다
김서희 기자
입력 2024/10/16 07:00
코로나19에 걸린 소아·청소년의 경우 확진 후 6개월간 당뇨병 진단을 받을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을 앓은 경우보다 최대 세 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폴린 테레부 교수팀은 글로벌 임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통해 2020년 1월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또는 호흡기질환을 진단받은 10~19세 소아·청소년 61만360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당뇨병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코로나19를 진단받은 1, 3, 6개월 후 당뇨병 진단 여부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진단 그룹이 새로 당뇨병 진단을 받을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진단 그룹보다 진단 1개월 후에는 55% 높고, 3개월 후와 6개월 후에는 각각 48%와 58%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된 코로나19 진단 그룹은 당뇨병 신규 진단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그룹보다 1, 3, 6개월 후 각각 2.07배, 2.0배, 2.27배 높았다. 특히 코로나19로 입원했던 중증 그룹은 1, 3, 6개월 후 당뇨병 진단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그룹보다 각각 3.10배, 2.74배, 2.6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코로나19가 다른 호흡기 질환보다 당뇨병 위험을 더 높이는 요인이 되며 특히 과체중·비만, 코로나19 중증이 그 위험을 더욱 높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후향적 관찰 연구로 인과관계를 알기 어려워 코로나19가 어떻게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지 알 수 없다”며 “추후 당뇨병 위험이 지속되는지 또는 정상화되는지 확인하려면 지속적 관찰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
미국 케이스 웨스턴리저브대 폴린 테레부 교수팀은 글로벌 임상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통해 2020년 1월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또는 호흡기질환을 진단받은 10~19세 소아·청소년 61만360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와 당뇨병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코로나19를 진단받은 1, 3, 6개월 후 당뇨병 진단 여부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진단 그룹이 새로 당뇨병 진단을 받을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진단 그룹보다 진단 1개월 후에는 55% 높고, 3개월 후와 6개월 후에는 각각 48%와 58%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된 코로나19 진단 그룹은 당뇨병 신규 진단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그룹보다 1, 3, 6개월 후 각각 2.07배, 2.0배, 2.27배 높았다. 특히 코로나19로 입원했던 중증 그룹은 1, 3, 6개월 후 당뇨병 진단 위험이 다른 호흡기 질환 그룹보다 각각 3.10배, 2.74배, 2.6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코로나19가 다른 호흡기 질환보다 당뇨병 위험을 더 높이는 요인이 되며 특히 과체중·비만, 코로나19 중증이 그 위험을 더욱 높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후향적 관찰 연구로 인과관계를 알기 어려워 코로나19가 어떻게 당뇨병 위험을 높이는지 알 수 없다”며 “추후 당뇨병 위험이 지속되는지 또는 정상화되는지 확인하려면 지속적 관찰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