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빈 공간으로 올라온 아래 어금니 /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제공
치아가 빠졌음에도 큰 불편함이 없다는 이유로 방치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치아가 빈 채 시간이 오래 지나면 치아 배열이 망가지고 잇몸 통증, 소화장애, 영양부족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치아가 빠져 빈 공간이 생기면 빠진 치아의 옆 치아 또는 위아래 맞닿는 치아가 그 빈 공간으로 이동한다. 이는 치열이 망가지는 원인이 된다. 치열이 망가지면 틈이 생기고 음식물이 끼며, 이 상태로 관리마저 안 되면 잇몸이 붓거나 통증이 생긴다.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치과보철과 백연화 교수는 “지속적으로 방치하면 음식물을 씹기 어려워져 소화 장애, 영양 부족 등 전신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향후 치료를 받고자 할 때 추가 교정이나 보철치료는 물론, 심한 경우 주변 치아를 모두 발치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치아가 망가졌다면 가능한 빨리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치료 결과도 좋지 않을 수 있다.


치아가 빠진 자리를 수복하는 방법에는 브릿지, 틀니, 임플란트 등이 있다. 치료법은 치아가 빠진 위치, 골상태, 주변 치아 상태 등을 고려해 선택한다.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임플란트는 인공 뿌리를 심고 그 위에 치아 머리를 수복하는 것으로, 주변 치아의 손상 없이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 임플란트 치료 기간은 발치 후 임플란트를 심기 전까지 대기시간과 임플란트를 심은 후 상부 보철물을 씌우기까지 대기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전통적인 과정은 발치 후 3~4개월을 기다려 치아 뿌리가 있던 공간에 뼈가 어느 정도 차면 임플란트를 심는 방식이다. 이후 3개월 이상 지나서 뼈와 임플란트가 완전히 붙으면 보철물을 씌운다. 백연화 교수는 “최근에는 임플란트 디자인, 표면 처리 방법 외에도 수술 기법 등이 발달해 6~8주로 치료 기간이 짧아지는 추세”라며 “제한적인 경우에 한해 발치 당일 임플란트 수술과 임시 보철물까지 즉시 연결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임플란트의 수명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환자의 골상태가 좋지 않고 치주염이 심한 경우 임플란트 수명 역시 짧을 가능성이 높고, 환자의 구강 관리 습관, 흡연 여부, 당뇨 등 전신적인 건강 상태도 영향을 미친다. 백 교수는 “환자의 저작력이 강하거나,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먹는 등의 식습관, 이갈이, 이를 꽉 무는 버릇 등 임플란트에 지속적으로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 임플란트 수명 단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며 “임플란트 수복치료가 완료됐을 때 ‘치료의 끝이 아닌 시작’으로 생각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주기적인 치과방문을 통해 점검·치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