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질환

올해 첫 사망자 발생, 간질환자·당뇨환자 등 어패류 섭취 주의

오상훈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질병관리청이 지난 20일,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환자는 70대 여성으로 지난 5월 14일 다리 부종과 통증 및 색 변화가 나타나 응급실에 내원했다. 입원 치료를 받던 16일 심정지로 사망하했고 검체 검사 결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확인됐다.

비브리오패혈균은 호염성 세균으로 주로 해수, 해하수, 갯벌, 어패류 등 광범위한 연안 해양 환경에서 자유롭게 서식한다.해수온도가 18℃ 이상일 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인해 비브리오패혈증도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환자수가 급증하는데 지난해의 경우 환자의 91.3%가 8~10월에 발생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의 주요 감염경로는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은 경우다.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했을 때도 감염될 수 있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리면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증상 시작 후 24시간 내에 다리 쪽에 발진, 부종, 수포(출혈성) 등의 피부병변이 생기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특히,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코올 의존성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비브리오패혈증의 감염 및 사망위험이 높다. 이들은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어패류는 반드시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은 사람 간 전파는 없으므로 어패류, 게, 새우 등 익히지 않은 음식을 먹지 않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만성 간질환자, 당뇨병, 알코올 의존성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해야 한다. 조리할 땐 85도 이상 가열처리하는 게 중요한데 껍질 등이 열리고 나서 5분 이상 끓여야 한다.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 이상 더 조리한다. 어패류를 다룰 땐 장갑을 착용하며 사용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한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