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식용유의 신세계, 오일 스프레이
이용재 음식평론가
입력 2024/05/13 07:15
이용재의 음식시론
요리에서 지방의 역할은 중요하다. 일단 맛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건강 우려로 저지방 제품이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맛이 없는 건 지방이 빠진 탓이다. 한편 지방은 요리에서 완충 작용도 한다. 누구나 흔히 먹는 계란 프라이를 생각해보자. 지방, 즉 기름을 두르고 프라이팬을 적절히 달궈야 계란이 들러붙지 않고 깔끔하게 부쳐진다.
물론 ‘논스틱’, 즉 붙지 않는 코팅을 쓴 프라이팬을 쓰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상품명 테프론)를 입힌 논스틱팬 또한 기름을 최소한으로 두른다고 전제하고 만든다. 따라서 기름을 아예 쓰지 않고 조리를 하면 가뜩이나 내구성이 강하지 않은 코팅이 금세 벗겨져 팬이 제 역할을 못하게 된다. 물론 기름을 안 썼으니 계란프라이는 그리 맛있지도 않다.
그래서 기름의 사용에는 딜레마가 따른다. 맛과 조리의 편의를 위해 쓸 것인가? 아니면 건강을 위해 안 쓸 것인가? 사실 ‘지방이 지방을 생성한다’, 즉 지방을 섭취하면 살이 찐다는 건강 이론은 이제 타파된 것이나 다름 없다. 이제 탄수화물과 당이 체중 증가의 원인임이 확실하니 지방이 예전 만큼 위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습관이 무섭다’고 우리는 계속해서 기름을 덜 쓸 궁리를 한다.
그런 이들을 위해 가히 새로운 문물이라 할 수 있는 제품군이 2022년에 등장했다. 바로 ‘오일 스프레이’이다. 명칭 그대로 식용유나 올리브유 같은 액상 기름을 알루미늄 캔에 넣고 꼭대기의 버튼을 누르면 미량의 기름이 분사되는 제품이다. 워낙 적은 양이 나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칼로리라 규정하는데, 계란 등의 식재료가 팬에 들러붙지 않게 하는 정도의 쓰임새에는 제 몫을 충분히 한다.
원래 ‘요리 스프레이(Cooking Spray)’라 불리는 오일 스프레이는 사실 역사가 제법 오래된 제품이다. 1959년, 미국에서 사업가인 아서 마이어호프가 레온 루빈과 처음 홍보를 시작했다. ‘팸(PAM)’이라는 상표가 붙어 나왔는데 ‘마이어호프의 제품(Product Of Mayerhoff)’이라는 문구의 첫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었다.
앞서 언급했듯 스프레이, 즉 분사를 해 통상적으로 써 왔던 지방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게 쓸 수 있음을 장점으로 내세워 팸 요리 스프레이는 오늘날까지 미국인들 주방의 붙박이로 승승장구해왔다. 처음엔 유채기름을 썼지만 점차 수요가 다분화 되면서 올리브기름, 아보카도 기름, 버터맛 등 다양한 제품들이 점차 세를 불려왔다.
처음 대형 마트에서 오일 스프레이 제품군을 발견하고 반색했다. 일반 요리에도 두루 쓸 수 있지만 오일 스프레이는 나의 취미인 제과제빵에 꼭 필요한 제품이다. 빵이나 과자, 케이크 등은 오븐에서 익힌 다음 틀이나 팬에서 잘 빠져 나와야 하는데, 오일 스프레이가 있으면 너무 편하다. 물론 분무기에 식용유를 담아 틀에 뿌릴 수도 있지만 농도가 있는 가운데 분사제(압축가스)는 없으니 노즐이 막힐 수 있다.
가격은 250밀리리터 들이 제품이 대략 7000원대로 싸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식용유와는 다른 마음 가짐으로 쓰는 제품이므로 지방 사용을 줄이고 싶다면 호기심에라도 권할만하다. 다만 내가 써본 제품들은 주둥이, 즉 노즐이 쉽게 막혀 기름이 많이 남았는 데도 제대로 분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으니 품질 개선이 조금 필요해 보인다.
물론 ‘논스틱’, 즉 붙지 않는 코팅을 쓴 프라이팬을 쓰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상품명 테프론)를 입힌 논스틱팬 또한 기름을 최소한으로 두른다고 전제하고 만든다. 따라서 기름을 아예 쓰지 않고 조리를 하면 가뜩이나 내구성이 강하지 않은 코팅이 금세 벗겨져 팬이 제 역할을 못하게 된다. 물론 기름을 안 썼으니 계란프라이는 그리 맛있지도 않다.
그래서 기름의 사용에는 딜레마가 따른다. 맛과 조리의 편의를 위해 쓸 것인가? 아니면 건강을 위해 안 쓸 것인가? 사실 ‘지방이 지방을 생성한다’, 즉 지방을 섭취하면 살이 찐다는 건강 이론은 이제 타파된 것이나 다름 없다. 이제 탄수화물과 당이 체중 증가의 원인임이 확실하니 지방이 예전 만큼 위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습관이 무섭다’고 우리는 계속해서 기름을 덜 쓸 궁리를 한다.
그런 이들을 위해 가히 새로운 문물이라 할 수 있는 제품군이 2022년에 등장했다. 바로 ‘오일 스프레이’이다. 명칭 그대로 식용유나 올리브유 같은 액상 기름을 알루미늄 캔에 넣고 꼭대기의 버튼을 누르면 미량의 기름이 분사되는 제품이다. 워낙 적은 양이 나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0칼로리라 규정하는데, 계란 등의 식재료가 팬에 들러붙지 않게 하는 정도의 쓰임새에는 제 몫을 충분히 한다.
원래 ‘요리 스프레이(Cooking Spray)’라 불리는 오일 스프레이는 사실 역사가 제법 오래된 제품이다. 1959년, 미국에서 사업가인 아서 마이어호프가 레온 루빈과 처음 홍보를 시작했다. ‘팸(PAM)’이라는 상표가 붙어 나왔는데 ‘마이어호프의 제품(Product Of Mayerhoff)’이라는 문구의 첫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었다.
앞서 언급했듯 스프레이, 즉 분사를 해 통상적으로 써 왔던 지방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게 쓸 수 있음을 장점으로 내세워 팸 요리 스프레이는 오늘날까지 미국인들 주방의 붙박이로 승승장구해왔다. 처음엔 유채기름을 썼지만 점차 수요가 다분화 되면서 올리브기름, 아보카도 기름, 버터맛 등 다양한 제품들이 점차 세를 불려왔다.
처음 대형 마트에서 오일 스프레이 제품군을 발견하고 반색했다. 일반 요리에도 두루 쓸 수 있지만 오일 스프레이는 나의 취미인 제과제빵에 꼭 필요한 제품이다. 빵이나 과자, 케이크 등은 오븐에서 익힌 다음 틀이나 팬에서 잘 빠져 나와야 하는데, 오일 스프레이가 있으면 너무 편하다. 물론 분무기에 식용유를 담아 틀에 뿌릴 수도 있지만 농도가 있는 가운데 분사제(압축가스)는 없으니 노즐이 막힐 수 있다.
가격은 250밀리리터 들이 제품이 대략 7000원대로 싸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일반 식용유와는 다른 마음 가짐으로 쓰는 제품이므로 지방 사용을 줄이고 싶다면 호기심에라도 권할만하다. 다만 내가 써본 제품들은 주둥이, 즉 노즐이 쉽게 막혀 기름이 많이 남았는 데도 제대로 분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으니 품질 개선이 조금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