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질환
탈모약, 여러 종류 먹으면 효과 더 좋을까?
신은진 기자 | 도움말=일반의약품연구회 오인석 회장(약사)
입력 2024/03/21 19:00
나이가 들수록 건강만큼 소중한 게 머리숱이란 말이 있다. 하지만 머리숱을 지키는 일처럼 어려운 것도 없다. 그나마 탈모치료제를 복용하면 확실히 머리칼이 더 굵어지고 튼튼해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여러 종류의 탈모약을 함께 먹으면 효과가 더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 안타깝지만 그렇진 않다.
탈모치료제 성분은 크게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등)와 두타스테리드(아보다트 등)로 분류한다. 두 약은 성분이 다르다보니 번갈아 가며 복용하면, 탈모치료 효과가 더 좋다는 속설까지 있다. 그러나 이는 검증되지 않은 헛소문이다.
일단 둘을 교차 복용했을 때 효과가 더 좋다는 근거가 없다. 두 성분 모두 테스토스테론의 DHT 전환을 막는 작용을 통해 모세포를 공격하는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원리의 약인데, 교차복용 관련해서는 데이터가 없어 효과 자체를 거론할 수 없다.
중요한 건 꾸준한 복용이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모두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탈모치료를 위해서는 꾸준히 복용하는 게 머리숱을 지키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된다.
다만, 전문의약품 탈모약과 일반의약품 탈모약을 함께 사용하는 건 탈모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바르는 미녹시딜 치료제를 하루에 2번 사용하고, 경구용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했을 경우, 남성형 탈모 치료에 실험 집단의 94.1%가 탈모 치료에 효과를 봤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는 경구용 치료제(피나스테리드)를 단독 사용(80.5%)했을 때보다 발모 효과가 13.6%로 증가한 결과다.
일반의약품 미녹시딜도 꾸준한 사용이 중요하다. 미녹시딜은 두피의 혈관 확장 작용으로 모발의 성장 주기를 정상화시킴으로써 소형 모낭을 복구시킨다. 모발 성장 주기에 영향을 주는 약이다보니 약효가 나타나기까진 수개월이 걸린다. 보통 미녹시딜의 효과는 도포를 시작한 지 약 4개월 후부터 나타나므로, 당장 효과가 없다며 사용을 중단하지 말고, 4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한다.
탈모치료제 성분은 크게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등)와 두타스테리드(아보다트 등)로 분류한다. 두 약은 성분이 다르다보니 번갈아 가며 복용하면, 탈모치료 효과가 더 좋다는 속설까지 있다. 그러나 이는 검증되지 않은 헛소문이다.
일단 둘을 교차 복용했을 때 효과가 더 좋다는 근거가 없다. 두 성분 모두 테스토스테론의 DHT 전환을 막는 작용을 통해 모세포를 공격하는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원리의 약인데, 교차복용 관련해서는 데이터가 없어 효과 자체를 거론할 수 없다.
중요한 건 꾸준한 복용이다. 피나스테리드와 두타스테리드 모두 복용을 중단하면 다시 탈모가 진행되기 때문에 탈모치료를 위해서는 꾸준히 복용하는 게 머리숱을 지키는 데 가장 큰 도움이 된다.
다만, 전문의약품 탈모약과 일반의약품 탈모약을 함께 사용하는 건 탈모치료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바르는 미녹시딜 치료제를 하루에 2번 사용하고, 경구용 피나스테리드를 복용했을 경우, 남성형 탈모 치료에 실험 집단의 94.1%가 탈모 치료에 효과를 봤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는 경구용 치료제(피나스테리드)를 단독 사용(80.5%)했을 때보다 발모 효과가 13.6%로 증가한 결과다.
일반의약품 미녹시딜도 꾸준한 사용이 중요하다. 미녹시딜은 두피의 혈관 확장 작용으로 모발의 성장 주기를 정상화시킴으로써 소형 모낭을 복구시킨다. 모발 성장 주기에 영향을 주는 약이다보니 약효가 나타나기까진 수개월이 걸린다. 보통 미녹시딜의 효과는 도포를 시작한 지 약 4개월 후부터 나타나므로, 당장 효과가 없다며 사용을 중단하지 말고, 4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