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까치발을 했을 때 하지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허리에 통증이 느껴져 허리디스크가 의심된다면 발뒤꿈치를 드는 '까치발'이나 '뒤꿈치로 걷는 동작'을 해보자. 이때 하지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있다.

허리디스크(요추 추간판 탈출증)는 척추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조직인 추간판(디스크)이 뼈 뒤로 터져 나오면서 신경근을 누르며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증상은 요통과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다.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돌출 빈도가 높아지지만, 10대부터 언제든 생길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뒤 신경관 터널이 노화로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려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50대 이상에게 많이 나타나며, 대퇴부나 다리까지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나타난다.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이 있으면 통증뿐 아니라 하지 근력도 저하돼 다리가 낼 수 있는 힘이 약해진다. 척추는 여러 뼈로 이뤄져 있는데, 두 척추 질환으로 문제가 가장 많이 생기는 뼈는 4,5번 요추(허리뼈)와 1번 천추(엉덩이 쪽 척추뼈)다. 세 뼈는 차례대로 배열돼 있다. 4,5번 요추에 문제가 생기면 발과 발목을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발 뒤꿈치만 대고 걸으려고 하면 발끝이 들리지 않아 제대로 걷기 힘들다. 5번 요추와 1번 천추에 이상이 있으면 발과 발목을 바닥 쪽으로 미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까치발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걸을 때 땅을 미는 힘이 약해져 양쪽 보폭이 달라지기도 한다.


따라서 나이와 관계없이 까치발, 뒤꿈치로 걷는 동작이 안 된다면 이미 중기 이상의 디스크,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이 크므로 빨리 정형외과를 찾는 게 좋다.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을 시행하는데, 통증이 심할 경우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두 질환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추정하는 방법도 있다. 허리를 앞으로 굽혀보면 된다. 허리 디스크라면 허리를 앞으로 굽혔을 때 추간판이 눌려 통증이 더 강해지고, 반대로 뒤로 젖히면 공간이 생겨 통증이 완화된다. 척추관협착증이 있을 땐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오히려 척추관에 공간이 생겨 통증이 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