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을 배우자와 함께 하면 신체활동 수준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싱가포르 난양공과대 연구팀은 54~72세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와 함께하는 운동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부부가 함께 운동하는 그룹과 혼자 운동하는 그룹으로 나눴다. 그 후, 참가자들이 착용한 피트니스 트래커를 통해 걸음 수, 심박수, 이동 거리, 소모 칼로리, 활동 시간, 수면 데이터 등의 정보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부부가 함께 운동한 참가자의 평균 걸음 수는 개별적으로 운동한 참가자보다 낮았다. 파트너와 함께 운동한 참가자의 하루 평균 걸음 수는 1만441걸음인 반면, 혼자서 운동한 참가자의 하루 평균 걸음 수는 1만1372걸음이었다. 부부가 서로에게 맞춰야 하는 부분 때문에 적극적인 신체활동 목표 달성이 더 어려운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사파이어 린 박사는 “노년층은 부부가 함께 운동할 때, 자신이 해온 운동에 맞게 상대를 변화시키려 강요하기보다는 자신의 일상을 바꾸는 데 집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에 최근 게재됐다.
싱가포르 난양공과대 연구팀은 54~72세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와 함께하는 운동이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부부가 함께 운동하는 그룹과 혼자 운동하는 그룹으로 나눴다. 그 후, 참가자들이 착용한 피트니스 트래커를 통해 걸음 수, 심박수, 이동 거리, 소모 칼로리, 활동 시간, 수면 데이터 등의 정보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부부가 함께 운동한 참가자의 평균 걸음 수는 개별적으로 운동한 참가자보다 낮았다. 파트너와 함께 운동한 참가자의 하루 평균 걸음 수는 1만441걸음인 반면, 혼자서 운동한 참가자의 하루 평균 걸음 수는 1만1372걸음이었다. 부부가 서로에게 맞춰야 하는 부분 때문에 적극적인 신체활동 목표 달성이 더 어려운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저자 사파이어 린 박사는 “노년층은 부부가 함께 운동할 때, 자신이 해온 운동에 맞게 상대를 변화시키려 강요하기보다는 자신의 일상을 바꾸는 데 집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