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맛있는 거 다 먹고 살 덜 찌려면… ‘이 식사법’ 따라하세요

이해림 기자

이미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다이어트할 땐 식욕을 참는 게 가장 힘들다. 음식을 일부러 안 먹는 게 어렵다면, 자연스레 덜 먹게 유도할 방법은 없을까?

음식을 오랫동안, 꼭꼭 씹는 습관이 도움될 수 있다. 음식을 오래 씹으면 과식할 일이 줄어든다. 오래 씹으면 침이 많이 분비되는데, 침 안에는 아밀라아제라는 탄수화물 분해 효소가 들어 있다. 꼭꼭 씹는 동안 침이 다량 분비되면, 음식 속 전분이 아밀라아제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므로 혈중 당분 농도도 빨리 짙어진다. 혈중 당분 농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뇌의 만복 중추로 배부르다는 신호가 전달된다. 이 중추가 자극되는 시간도 앞당겨지므로 일찌감치 포만감을 느끼게 된다. 반대로 음식을 덜 씹으면 효소 분비량이 적어지며 뇌에 신호가 늦게 가고, 배고픈 상태가 오래간다. 혈중 당분 농도를 제때 높이려면 음식을 최소 30분 이상 천천히 씹어야 한다.


건강을 위해서라도 음식을 오래 씹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충분한 저작운동은 입 냄새를 줄이고 뇌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이롭다. 음식을 제대로 씹지 않으면 침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고, 입이 메말라 구강 내 혐기성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진다. 혐기성 세균은 혀의 미뢰나 치아·잇몸 사이의 치주낭에 서식하며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등 입 냄새 원인 물질을 만들어낸다. 침이 잘 분비돼 입안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려면 저작 운동이 어느 정도 이뤄져야 한다.

음식을 오래 씹는 습관은 뇌에 자극을 줘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턱을 움직이는 저작 운동을 하면, 뇌로 향하는 혈류가 원활해져 산소가 잘 공급되기 때문이다. 영국 카디프대 연구팀은 껌을 씹는 집단과 씹지 않는 집단에 각각 30분 동안 1~9 중의 숫자를 불러주고 이를 기억하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껌을 씹은 집단이 숫자를 더 빨리, 더 정확하게 기억해내는 게 관찰됐다. 또 저작 운동은 파로틴 호르몬이 분비되게 하는데, 파로틴은 혈관의 신축성을 높이고 백혈구 기능을 활발하게 한다. 혈관성 치매가 발생할 위험을 낮추는 데도 도움될 수 있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