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노인 8000명 살펴보니… ‘이것’ 사용하면 우울증 적고 인지기능 높더라
오상훈 기자
입력 2023/10/20 08:00
전자기기와 친한 노인은 우울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현웅 교수 연구팀은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디지털 문해력이란 전통적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뜻한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 출현, 소셜 미디어 확장으로 컴퓨터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등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 활용 능력으로 개념이 확장됐다.
연구팀은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7988명의 노인을 분석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3세로 이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 부족, 70%는 디지털 소통 능력 부족,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부족,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구팀은 원활한 평가를 위해 디지털 문해력을 4개 범주로 나눴다. ▲소통(디지털 기기 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 이용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 이용 음악감상 및 영화시청 능력) ▲전자금융(디지털 기기 이용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고, 인지기능은 높아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이, 성별, 교육, 결혼, 직업, 취미, 흡연, 만성질환의 수 등을 보정한 결과였다. 특히 매개효과 분석 결과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디지털 전자금융 문해력’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인 대상의 디지털 교육 및 훈련이 우울증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인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활성화 ▲디지털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증 관리 등을 위한 플랫폼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의 저자 노현웅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어려워하고 멀리할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어르신들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신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Psychiatry'에 최근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노현웅 교수 연구팀은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디지털 문해력이란 전통적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뜻한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 출현, 소셜 미디어 확장으로 컴퓨터뿐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키오스크 등 모든 디지털 전자기기 활용 능력으로 개념이 확장됐다.
연구팀은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7988명의 노인을 분석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3세로 이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 부족, 70%는 디지털 소통 능력 부족,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부족,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으로 각각 나타났다.
연구팀은 원활한 평가를 위해 디지털 문해력을 4개 범주로 나눴다. ▲소통(디지털 기기 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 이용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 이용 음악감상 및 영화시청 능력) ▲전자금융(디지털 기기 이용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감소하고, 인지기능은 높아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이, 성별, 교육, 결혼, 직업, 취미, 흡연, 만성질환의 수 등을 보정한 결과였다. 특히 매개효과 분석 결과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과 ‘디지털 전자금융 문해력’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노인 대상의 디지털 교육 및 훈련이 우울증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인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활성화 ▲디지털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증 관리 등을 위한 플랫폼 제공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의 저자 노현웅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어려워하고 멀리할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어르신들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정신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Psychiatr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