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30대만 되면 배 나오는 남성들… 과학적 이유 있다?
오상훈 기자
입력 2023/09/23 10:00
대다수 남성은 빠르면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부터 아랫배가 불어난다. 반면 여성은 허벅지나 엉덩이에 살이 찐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
나이 들어 살이 찌는 이유는 성장호르몬의 감소 때문이다. 성장호르몬은 신체의 성장, 발달 및 재생을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성장호르몬 분비량은 사춘기 때 최고조를 이루고 30대가 되면 10년 주기로 약 14.4%씩 줄어든다. 이로 인해 근육량과 신진대사량이 줄어 몸이 기본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양이 감소한다. 나이가 들면 전과 비슷한 양의 음식을 먹어도 쉽게 체중이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살이 찌는 부위는 성별에 따라 다르다. 남성은 복부, 여성은 허벅지와 엉덩이에 지방이 축적된다. 이는 성별에 따라 지방 분포도가 다르기 때문인데 실제 비만을 분류할 때도 엉덩이와 허벅지 살이 많으면 ‘여성형 비만’, 복부에 살이 많으면 ‘남성형 비만’으로 구분한다.
성별에 따라 지방 분포도가 다른 까닭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성호르몬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추측된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지방을 허벅지와 엉덩이에 축적시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낮은 남성은 여성에 비해 더 이른 시기에 복부에 살이 찌기 시작한다. 단, 여성도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적어지는 폐경기에 이르면 살찌는 부위가 하체에서 복부로 이동한다.
복부에 일찍 살이 찌는 남성은 내장 지방 축적을 주의해야 한다. 내장지방은 복강 내, 내장 주변에 존재하는 지방을 뜻한다. 대사증후군,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 등으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력이 피하지방보다 크다. 다행히 내장지방은 생활요법 개선에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면 없앨 수 있다.
내장비만인지 확인하려면 직접 복부 둘레를 재보면 된다. 줄자로 배꼽 주위 가장 살이 많은 부분의 둘레를 잰다.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이면 내장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판단한다. 직접 살을 집어보는 방법도 있다. 하늘을 보고 누워 가볍게 무릎을 세운 상태에서 긴장을 풀고, 배에 힘을 뺀 뒤, 양손으로 배꼽 주위의 살을 잡는다. 살이 깊게 잡히면 피하지방형 비만이고, 피부만 잡히면 내장지방형 비만일 가능성이 크다.
나이 들어 살이 찌는 이유는 성장호르몬의 감소 때문이다. 성장호르몬은 신체의 성장, 발달 및 재생을 자극하는 호르몬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성장호르몬 분비량은 사춘기 때 최고조를 이루고 30대가 되면 10년 주기로 약 14.4%씩 줄어든다. 이로 인해 근육량과 신진대사량이 줄어 몸이 기본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양이 감소한다. 나이가 들면 전과 비슷한 양의 음식을 먹어도 쉽게 체중이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살이 찌는 부위는 성별에 따라 다르다. 남성은 복부, 여성은 허벅지와 엉덩이에 지방이 축적된다. 이는 성별에 따라 지방 분포도가 다르기 때문인데 실제 비만을 분류할 때도 엉덩이와 허벅지 살이 많으면 ‘여성형 비만’, 복부에 살이 많으면 ‘남성형 비만’으로 구분한다.
성별에 따라 지방 분포도가 다른 까닭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성호르몬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 추측된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지방을 허벅지와 엉덩이에 축적시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낮은 남성은 여성에 비해 더 이른 시기에 복부에 살이 찌기 시작한다. 단, 여성도 에스트로겐 분비량이 적어지는 폐경기에 이르면 살찌는 부위가 하체에서 복부로 이동한다.
복부에 일찍 살이 찌는 남성은 내장 지방 축적을 주의해야 한다. 내장지방은 복강 내, 내장 주변에 존재하는 지방을 뜻한다. 대사증후군,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 등으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력이 피하지방보다 크다. 다행히 내장지방은 생활요법 개선에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면 없앨 수 있다.
내장비만인지 확인하려면 직접 복부 둘레를 재보면 된다. 줄자로 배꼽 주위 가장 살이 많은 부분의 둘레를 잰다.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이면 내장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판단한다. 직접 살을 집어보는 방법도 있다. 하늘을 보고 누워 가볍게 무릎을 세운 상태에서 긴장을 풀고, 배에 힘을 뺀 뒤, 양손으로 배꼽 주위의 살을 잡는다. 살이 깊게 잡히면 피하지방형 비만이고, 피부만 잡히면 내장지방형 비만일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