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워치를 사용한다면 떠올려 보자. 마지막으로 워치 스트랩(손목 밴드)을 세척한 게 언제인가? 최근 워치 스트랩이 유해 세균의 온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플로리다 애틀랜틱대 생물학과 은와디우토 에시오브(Nwadiuto Esiobu) 교수 연구팀은 워치 스트랩의 위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방관, 수의사, 사무원 등 다양한 직업의 성인 20명의 워치 스트랩을 분석했다. 면봉으로 스트랩 안쪽을 닦아 낸 후 세균 배양했다.
그 결과, 무려 95%의 손목 밴드가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상재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이 85%로 가장 많았고, 60%에서 대장균(E. coli)이 발견됐다. 포도상구균은 많은 사람 피부에 살고 있는 균으로 위험성이 크게 높지 않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 궤양이나 종기 등 피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균은 구강을 통해 다시 체내로 들어오면 위장관 감염질환을 일으킨다. 분석한 손목 밴드 30%에서는 슈도모나스균(Pseudomonas spp)이 발견됐다. 슈도모나스 균은 요도 감염 등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균이다.
연구팀은 워치 스트랩 재질별로도 오염도를 분석했다. 천 밴드가 가장 더럽고, 플라스틱, 고무, 가죽, 금속 순이었다. 금으로 만들어진 스트랩에서는 세균이 감지되지 않았다.
미국 플로리다 애틀랜틱대 생물학과 은와디우토 에시오브(Nwadiuto Esiobu) 교수 연구팀은 워치 스트랩의 위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방관, 수의사, 사무원 등 다양한 직업의 성인 20명의 워치 스트랩을 분석했다. 면봉으로 스트랩 안쪽을 닦아 낸 후 세균 배양했다.
그 결과, 무려 95%의 손목 밴드가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상재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이 85%로 가장 많았고, 60%에서 대장균(E. coli)이 발견됐다. 포도상구균은 많은 사람 피부에 살고 있는 균으로 위험성이 크게 높지 않지만, 면역력이 떨어지면 궤양이나 종기 등 피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대장균은 구강을 통해 다시 체내로 들어오면 위장관 감염질환을 일으킨다. 분석한 손목 밴드 30%에서는 슈도모나스균(Pseudomonas spp)이 발견됐다. 슈도모나스 균은 요도 감염 등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균이다.
연구팀은 워치 스트랩 재질별로도 오염도를 분석했다. 천 밴드가 가장 더럽고, 플라스틱, 고무, 가죽, 금속 순이었다. 금으로 만들어진 스트랩에서는 세균이 감지되지 않았다.

에시오브 교수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 다공성 표면은 세균이 더 잘 자라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워치 스트랩의 표면을 정기적으로 소독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했다.
연구팀은 효과적인 소독 방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세척 용액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누 수용액 중 하나인 리졸 소독 스프레이와 70% 알코올 모두 30초 이내에 99.99% 살균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재질의 스트랩에 적용됐다. 애플 사이다 식초는 세균 수를 줄이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에시오브 교수는 "워치 스트랩 말고도 이어폰, 휴대용 등 주로 사용되는 개인용 웨어러블도 오염도와 상재균으로 유발될 수 있는 감염 질환에 대해 연구돼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감염내과 학술지 'Advances in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효과적인 소독 방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세척 용액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누 수용액 중 하나인 리졸 소독 스프레이와 70% 알코올 모두 30초 이내에 99.99% 살균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재질의 스트랩에 적용됐다. 애플 사이다 식초는 세균 수를 줄이는 데 약 2분이 걸렸다.
에시오브 교수는 "워치 스트랩 말고도 이어폰, 휴대용 등 주로 사용되는 개인용 웨어러블도 오염도와 상재균으로 유발될 수 있는 감염 질환에 대해 연구돼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감염내과 학술지 'Advances in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게재됐다.